📖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30,080건

식물

식물(植物, Plantae)은 광합성을 통해 스스로 양분을 생산하는 생물의 한 계이다. 지구상의 거의 모든 생태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며, 동물을 포함한 다른 생물들의 생존에 필수적인 산소를 공급하고, 먹이 사슬의 기초를 형성한다. 크기와 형태는 다양하며, 단세포 조류부터 거대한 나무까지 광범위하게 존재한다.

분류

식물계는 크게 다음과 같이 분류될 수 있다. (분류 체계는 지속적으로 연구되고 수정되고 있으므로, 여기 제시된 분류는 하나의 일반적인 예시일 뿐이다.)

  • 녹조류 (Chlorophyta): 대부분 수중에서 서식하며, 광합성 색소인 엽록소를 가지고 있다. 단세포 또는 다세포 형태를 가진다.
  • 차축조류 (Charophyta): 녹조류와 육상 식물의 중간적인 특징을 가지는 조류.
  • 선태식물 (Bryophytes): 이끼류, 솔이끼류, 뿔이끼류 등을 포함하며, 관다발 조직이 없어 몸 전체로 수분과 양분을 흡수한다.
  • 양치식물 (Pteridophytes): 고사리류, 속새류 등을 포함하며, 관다발 조직을 가지고 있지만 꽃이나 씨앗을 만들지 않는다. 포자를 통해 번식한다.
  • 종자식물 (Spermatophytes): 씨앗을 통해 번식하는 식물로, 나자식물과 피자식물로 나뉜다.
    • 나자식물 (Gymnosperms): 겉씨식물이라고도 하며, 솔방울처럼 씨앗이 겉으로 드러나 있는 것이 특징이다. 소나무, 전나무 등이 이에 속한다.
    • 피자식물 (Angiosperms): 속씨식물이라고도 하며, 꽃을 피우고 씨방 안에 씨앗을 만드는 것이 특징이다. 대부분의 식물이 이에 속한다. 피자식물은 다시 외떡잎식물과 쌍떡잎식물로 나뉜다.

특징

  • 광합성: 엽록소를 이용하여 햇빛 에너지를 이용해 이산화탄소와 물로부터 유기물을 합성한다. 이 과정에서 산소가 부산물로 생성된다.
  • 세포벽: 식물 세포는 세포벽을 가지고 있어 세포의 형태를 유지하고 보호한다. 주요 구성 성분은 셀룰로스이다.
  • 고정된 생활: 대부분의 식물은 한 곳에 고정되어 생활한다. 하지만 일부 수생 식물은 이동성을 가진다.
  • 호르몬: 식물의 성장과 발달을 조절하는 다양한 호르몬을 가지고 있다.

생태계에서의 역할

식물은 생태계에서 생산자로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광합성을 통해 유기물을 생산하여 다른 생물들의 먹이가 되고, 산소를 공급하며, 토양의 생성과 유지에 기여한다. 또한, 서식지 제공, 수분 조절 등 다양한 생태계 기능을 수행한다.

경제적 중요성

식물은 인간에게 식량, 의류, 의약품, 건축자재 등 다양한 자원을 제공하며, 경제적으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농업, 임업, 원예 등 다양한 산업 분야의 기반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