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30,423건

시강원

시강원(侍講院)은 조선 시대에 왕세자에게 경사(經史)를 가르치고 보도(輔導)하는 관서였다. 세자시강원이라고도 한다.

설치 및 변천

본래 고려 시대에 세자를 교육하기 위해 설치된 춘방(春坊)의 제도를 이어받아 조선 건국 초부터 운영되었다. 태종 7년(1407년)에 정식 관제로 확립되었으며, 이후 세종, 성종 대를 거치면서 그 기능과 조직이 더욱 강화되었다. 갑오개혁(1894년) 때 폐지되었다.

주요 기능

  • 세자 교육: 세자에게 유교 경전, 역사, 문학 등 다양한 학문을 가르쳤다.
  • 세자 보도: 세자의 일상생활을 보좌하고, 올바른 판단과 행동을 할 수 있도록 조언하였다.
  • 정치 참여: 세자가 학문을 통해 정치적 식견을 넓히고, 국정에 참여할 수 있도록 지원하였다.

조직

시강원에는 여러 관직이 설치되어 있었으며, 크게 스승 역할을 하는 사(師)와 보좌 역할을 하는 보(傅)로 나눌 수 있다. 주요 관직으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었다.

  • 빈객(賓客): 정2품의 최고 책임자로, 세자의 스승 역할을 하였다.
  • 보덕(輔德): 정3품으로, 세자를 보좌하고 교육을 담당하였다.
  • 필선(弼善): 정4품으로, 보덕을 보좌하며 세자의 교육을 담당하였다.
  • 문학(文學): 정5품으로, 문학적 재능을 바탕으로 세자의 교육을 담당하였다.
  • 사경(司經): 종5품으로, 경전을 강의하고 해석하였다.
  • 설서(說書): 종6품으로, 경전을 풀이하고 설명하였다.
  • 자율(諮律): 종7품으로, 법률에 대한 자문을 담당하였다.

참고 문헌

  • 《조선왕조실록》
  • 《대전회통》
  • 《증보문헌비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