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초
수초는 물속에서 자라는 식물의 총칭이다. 정확한 정의는 사용 맥락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뿌리, 줄기, 잎 등의 식물 기관을 갖춘 수생식물을 포함한다. 담수(민물)와 해수(바닷물) 모두에서 서식하며, 종류에 따라 수면에 떠서 자라거나(부유성 수초), 수면 위로 잎을 뻗거나(부엽성 수초), 수중에 완전히 잠겨 자라는(침수성 수초) 등 다양한 생활형을 보인다.
생태학적 역할: 수초는 수생 생태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광합성을 통해 산소를 생산하고, 물속의 영양염류를 흡수하여 수질 정화에 기여한다. 또한, 어류나 무척추동물의 서식지 및 산란장을 제공하며, 먹이 사슬의 중요한 구성 요소로 작용한다. 일부 수초는 습지의 토양 침식을 방지하는 역할도 한다.
종류: 수초의 종류는 매우 다양하며, 지역과 서식 환경에 따라 그 구성이 크게 달라진다. 대표적인 예로는 말즘, 검정말, 물수세미 등의 침수성 수초와, 연꽃, 수련, 부레옥잠 등의 부엽성 수초, 그리고 개구리밥, 좀개구리밥 등의 부유성 수초가 있다. 해양에는 해조류를 포함한 다양한 수중식물이 수초로 분류되기도 한다.
인간과의 관계: 수초는 관상용으로 이용되기도 하며, 일부 종은 식용 또는 약용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그러나 과도한 성장은 수로를 막거나 수질 악화를 야기할 수도 있다. 따라서 수초 관리 및 제거는 수생태계 관리의 중요한 부분이다.
참고: 본 설명은 일반적인 수초에 대한 설명이며, 특정 종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해당 종의 개별 항목을 참조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