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35,278건

수기치인

수기치인(修己治人)은 자신의 몸과 마음을 닦아 수양한 후에 타인이나 국가를 다스려 평화롭게 한다는 뜻을 가진 사자성어이다. 동양 철학, 특히 유교의 핵심적인 정치 및 수양론이다.

이 용어는 유교 경전 중 하나인 《대학》(大學)의 '수신제가치국평천하'(修身齊家治國平天下)에서 비롯된 사상적 맥락을 간결하게 표현한 것이다. '수기'(修己)는 '자신을 수양함'을, '치인'(治人)은 '타인이나 사회, 국가를 다스림'을 의미한다.

수기치인의 사상은 지도자나 통치자뿐만 아니라 일반적인 관계에서도 적용될 수 있다. 자신의 인격과 능력을 먼저 갈고 닦는 것이 다른 사람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거나 공동체를 효율적으로 이끌기 위한 전제 조건이라는 철학을 담고 있다. 즉, 자신을 제대로 다스리지 못하는 사람은 결코 타인이나 공동체를 올바로 이끌 수 없다는 인식이 바탕에 깔려 있다.

이 사상은 동아시아의 전통적인 정치 철학에서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며, 과거 인재 등용이나 관리의 도덕성을 강조하는 데 핵심적인 근거로 작용했다. 현대 사회에서도 수기치인의 가치는 여전히 유효하다. 리더십의 근간으로서 도덕성, 윤리성, 전문성 등 자신을 먼저 완성하려는 노력이 요구됨을 시사한다.

관련 개념으로는 《대학》에 나오는 '수신제가치국평천하'(修身齊家治国平天下) 전체 구절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