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도제한장치
속도제한장치는 차량이나 기계 장치의 최대 속도를 미리 정해진 값으로 제한하는 장치이다. 주로 안전 확보, 연료 효율 향상, 배출가스 감소, 장비 및 부품의 수명 연장 등의 목적으로 사용된다. 특히 대형 트럭이나 버스와 같은 상용차에 법적으로 장착이 의무화되는 경우가 많다.
개요 속도제한장치는 차량의 속도 센서로부터 정보를 받아들여, 설정된 제한 속도에 도달하면 엔진의 출력을 제어하여 더 이상 속도가 상승하지 않도록 작동한다. 과거에는 기계식 또는 유압식 장치도 사용되었으나, 현대의 차량에는 대부분 전자식 엔진 제어 장치(ECU)와 연동되는 전자식 속도제한장치가 적용된다. 전자식 시스템은 연료 분사량, 점화 시점, 공기 흡입량 등을 조절하여 속도를 제어한다.
목적 및 효과
- 안전: 과속으로 인한 사고 위험을 줄이고, 특히 대형 차량의 경우 고속에서의 제동 거리 증가나 전복 위험을 감소시킨다.
- 연료 효율 및 환경: 고속 운전 시 발생하는 불필요한 연료 소비를 줄여 연비 향상 및 배출가스 감소에 기여한다.
- 장비 수명: 엔진 및 구동계 부품의 과도한 부하를 방지하여 장비의 마모를 줄이고 수명을 연장한다.
- 법규 준수: 많은 국가에서 특정 종류의 차량(주로 대형 상용차)에 대해 최고 속도 제한 규정을 두고 있으며, 속도제한장치 장착은 이러한 법규 준수의 핵심 수단이 된다.
적용 대상 속도제한장치는 승용차에도 선택적으로 적용될 수 있으나, 법적 의무화 대상은 주로 다음과 같은 차량들이다.
- 대형 트럭
- 버스
- 일부 특수 목적 차량
또한, 지게차, 건설 장비 등 특정 작업 환경에서의 안전을 위해 산업용 장비에도 속도제한 기능이 포함되는 경우가 있다.
규제 유럽 연합, 대한민국을 포함한 많은 국가에서는 대형 상용차의 최고 속도를 일정 수준(예: 시속 90km 또는 100km) 이하로 제한하기 위해 속도제한장치의 장착 및 작동을 의무화하고 있다. 이는 도로 안전을 증진하고 교통 흐름을 관리하는 데 목적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