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31,014건

서정시

서정시는 시의 한 종류로, 시인의 주관적인 감정, 정서, 생각, 체험 등을 노래하는 시를 말한다. 객관적인 사실이나 사건의 묘사보다는 개인의 내면세계에 대한 표현에 초점을 맞추며, 주로 간결하고 운율적인 언어를 사용하여 독자의 감성을 자극한다.

특징

  • 주관성: 시인의 개인적인 감정과 정서를 진솔하게 드러낸다.
  • 내면성: 외부 세계에 대한 객관적 묘사보다는 내면 심리의 표현에 집중한다.
  • 개성: 시인 고유의 독특한 시각과 감성이 반영된다.
  • 함축성: 간결하고 압축적인 언어를 사용하여 의미를 전달한다.
  • 운율성: 규칙적인 리듬과 운율을 통해 음악적인 효과를 창출한다.

주요 요소

  • 화자: 시 속에서 감정을 표현하는 주체 (시인 자신 또는 시인이 설정한 가상의 인물)
  • 정서: 기쁨, 슬픔, 분노, 사랑 등 시의 주된 감정
  • 심상: 시적 이미지를 통해 감각적인 경험을 전달하는 요소 (시각, 청각, 촉각, 미각, 후각 등)
  • 비유와 상징: 추상적인 개념이나 감정을 구체적인 대상으로 표현하는 기법

역사

서정시는 고대 그리스의 리라 연주에 맞춰 읊던 노래에서 유래되었으며, 이후 다양한 형태로 발전해왔다. 한국 문학에서는 고려 가요, 시조, 현대시 등 다양한 갈래에서 서정시의 전통을 찾아볼 수 있다.

관련 용어

  • 서사시: 역사적 사건이나 영웅의 이야기를 다루는 시
  • 극시: 연극 대본의 형태로 쓰인 시
  • 주정시: 술에 취한 상태에서 읊는 시 (서정시의 하위 갈래)
  • 전원시: 자연을 배경으로 한 평화로운 삶을 노래하는 시 (서정시의 하위 갈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