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21,554건

서술자

서술자는 문학 작품, 영화, 드라마, 게임 등에서 이야기를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존재를 의미한다. 이야기의 내용을 독자나 관객에게 전달하는 주체로서, 사건의 전개, 등장인물의 묘사, 배경 설명 등을 담당한다. 서술자는 단순히 정보를 전달하는 역할뿐만 아니라, 특정 관점을 제시하거나 분위기를 조성하여 이야기에 깊이를 더하기도 한다.

서술 시점

서술자는 이야기 속에서 다양한 시점을 가질 수 있으며, 이는 이야기의 전개 방식과 독자/관객의 몰입도에 큰 영향을 미친다. 주요 서술 시점은 다음과 같다.

  • 1인칭 시점: 서술자가 이야기 속 등장인물 중 한 명으로서 자신의 경험과 생각을 중심으로 이야기를 전개한다. "나"라는 인칭 대명사를 사용하여 서술하며, 독자/관객은 서술자의 주관적인 시각을 통해 사건을 접하게 된다.

  • 3인칭 관찰자 시점: 서술자는 이야기 밖에 존재하며, 특정 인물의 행동과 말을 관찰하여 객관적으로 전달한다. 등장인물의 내면 심리는 직접적으로 드러나지 않으며, 관찰된 사실만을 바탕으로 독자/관객이 추론하도록 유도한다.

  • 3인칭 전지적 시점: 서술자는 이야기 밖에 존재하며, 모든 등장인물의 생각과 감정을 자유롭게 알고 전달한다. 이야기 전체를 조망하는 듯한 시점을 제공하며, 독자/관객은 다양한 인물의 내면을 통해 사건을 폭넓게 이해할 수 있다.

신뢰성

서술자가 전달하는 정보의 신뢰성은 이야기의 해석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서술자가 거짓말을 하거나 특정 사실을 숨기는 '불신할 만한 서술자'는 독자/관객에게 혼란을 야기하며, 이야기의 반전이나 새로운 해석의 가능성을 제시하기도 한다.

매체별 서술자

서술자는 다양한 매체에서 활용되며, 각 매체의 특성에 따라 다른 방식으로 구현된다.

  • 문학: 소설, 단편 소설, 시 등에서 서술자는 문장과 어휘를 통해 이야기를 전달한다. 작가는 서술자의 시점, 어조, 문체를 조절하여 독자에게 특정한 인상을 심어줄 수 있다.

  • 영화/드라마: 영화와 드라마에서는 내레이션, 자막, 등장인물의 대사 등을 통해 서술자가 이야기를 전달한다. 시각적인 요소와 함께 서술자의 목소리나 연기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

  • 게임: 게임에서는 텍스트, 음성, 컷신 등을 통해 서술자가 이야기를 전달한다. 플레이어의 선택에 따라 이야기의 전개가 달라지는 인터랙티브 스토리텔링에서는 서술자의 역할이 더욱 중요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