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원
생원은 조선 시대에 소과(小科)의 하나인 생원시(生員試)에 합격한 사람을 이르는 말이다.
생원시는 조선 시대 과거 제도의 예비 시험 격인 소과 중 하나로, 사서오경(四書五經)에 능통한 자를 선발하는 시험이었다. 생원시에 합격한 자는 성균관에 입학할 자격을 얻거나, 하급 관료로 임용될 수 있는 기회가 주어졌다.
생원은 진사(進士)와 함께 소과 합격자를 칭하는 용어였으나, 시험 과목과 선발 기준에 따라 구분되었다. 생원시는 유교 경전에 대한 이해를 중시한 반면, 진사시는 문학적 재능을 평가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생원은 조선 사회에서 중요한 지위를 차지했으며, 학문적 능력을 인정받아 관료로 진출하거나, 향촌 사회에서 영향력을 행사하기도 했다. 생원 출신은 양반 계층의 중요한 구성원이었으며, 조선 사회의 유지와 발전에 기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