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21,569건

사이클론

정의: 사이클론은 저기압성 소용돌이로, 대기 중에서 발생하며, 강한 바람과 폭우를 동반한다. 발생 지역과 규모에 따라 태풍, 허리케인, 사이클론 등으로 다양하게 불린다.

발생 원인: 따뜻하고 습한 공기가 상승하면서 발생하는 대기 불안정이 주요 원인이다. 해수면 온도가 26.5°C 이상으로 높아야 충분한 수증기를 공급받을 수 있으며, 이 수증기가 응결하면서 열에너지를 방출하여 소용돌이를 더욱 강화시킨다. 적도 부근의 따뜻한 해수면과 지구 자전에 의한 코리올리 효과가 사이클론의 발생과 발달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코리올리 효과는 북반구에서는 시계 반대 방향으로, 남반구에서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소용돌이를 형성하게 만든다.

종류 및 명칭: 발생 지역에 따라 서로 다른 이름으로 불린다. 태평양 서쪽에서는 태풍, 북대서양과 동태평양에서는 허리케인, 인도양과 남태평양에서는 사이클론으로 부른다. 이들은 모두 같은 기상 현상이지만, 지역적인 관습에 따라 다른 명칭을 사용한다.

구조: 중심부에는 저기압 중심인 아이(eye)가 존재하며, 그 주변에는 강한 바람과 폭우를 동반하는 아이월(eyewall)이 형성된다. 아이월 바깥쪽으로는 나선형의 강한 바람대가 뻗어나가고, 그 너머로는 비교적 약한 바람과 비가 내리는 영역이 존재한다.

강도: 사이클론의 강도는 최대 풍속과 중심 기압으로 측정한다. 강도에 따라 여러 등급으로 분류되며, 일반적으로 풍속이 높고 중심 기압이 낮을수록 강한 사이클론이다.

피해: 사이클론은 강한 바람, 폭우, 해일 등으로 인해 심각한 피해를 야기할 수 있다. 건물 파괴, 홍수, 산사태, 인명 피해 등 다양한 피해가 발생하며, 특히 저지대 지역이나 해안 지역에 큰 위협이 된다.

예보 및 대비: 기상 관측 기술의 발달로 사이클론의 발생 및 경로를 예측하는 기술이 향상되었지만, 여전히 정확한 예보가 어려운 경우가 많다. 사이클론으로 인한 피해를 줄이기 위해서는 정확한 예보와 함께 주민들의 대피 및 대비가 매우 중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