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31,022건

부조

부조 (浮彫, relief)는 평면 또는 약간 튀어나온 바탕 위에 형상을 도드라지게 새기거나 붙여서 표현하는 조각 기법의 하나이다. 바탕면과의 높이 차이를 이용하여 입체감을 나타내며, 회화적인 표현이 가능하다는 특징이 있다. 부조는 조각의 한 종류이지만, 완전히 독립된 입체를 가지는 환조(丸彫)와는 구별된다.

분류

부조는 바탕면으로부터의 돌출 정도에 따라 크게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다.

  • 고부조 (高浮彫, high relief): 형상이 바탕면에서 절반 이상 높게 튀어나온 형태. 환조에 가까울 정도로 입체감이 강하다.
  • 반부조 (半浮彫, mezzo-relief): 형상이 바탕면에서 중간 정도 높이로 튀어나온 형태.
  • 저부조 (低浮彫, bas-relief): 형상이 바탕면에서 아주 낮게 튀어나온 형태. 평면에 가까우며, 섬세한 표현이 가능하다.
  • 선각 (線刻, sunk relief 또는 incised relief): 형상을 선으로만 새겨서 표현하는 형태. 이집트 미술에서 주로 사용되었다.

역사 및 용도

부조는 고대부터 다양한 문화권에서 널리 사용되어 왔다. 이집트, 그리스, 로마 등의 고대 문명에서는 신전, 무덤, 기념비 등에 부조를 장식하여 역사적 사건이나 신화를 기록하고 권위를 상징하는 데 사용했다. 중세 시대에는 교회의 건축물에 종교적인 내용을 담은 부조가 많이 사용되었으며, 르네상스 시대에는 인물 초상이나 신화적인 장면을 묘사한 부조가 유행했다. 현대에 이르러서는 건축물의 장식, 기념 조형물, 메달, 주화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재료

부조 제작에 사용되는 재료는 돌, 나무, 금속, 점토, 석고 등 다양하다. 재료의 특성에 따라 표현 기법과 효과가 달라지며, 사용 목적과 환경에 따라 적절한 재료를 선택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