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르스
부르스 (Blues)
부르스는 19세기 후반 미국 남부의 아프리카계 미국인 공동체에서 발생한 음악 및 음악 형식을 지칭합니다. 고된 노동과 삶의 애환을 표현하는 가사와 독특한 화성 진행, 그리고 "블루 노트"라고 불리는 음계 변형을 특징으로 합니다.
기원 및 역사
부르스는 아프리카계 미국인들의 구전 전통, 노동요, 영가 등 다양한 요소들이 결합되어 탄생했습니다. 특히 남북 전쟁 이후 해방된 흑인들의 고단한 현실과 차별에 대한 저항 정신이 음악에 깊이 녹아 있습니다. 초기 부르스는 악기 반주 없이 목소리만으로 불리는 경우가 많았으며, 점차 기타, 하모니카 등 악기가 추가되었습니다.
특징
- 12마디 형식: 가장 일반적인 부르스 형식은 12마디 진행을 따르며, I-IV-I-V-IV-I의 화성 진행을 기본으로 합니다.
- 블루 노트: 장음계 또는 단음계의 특정 음을 반음 낮추어 연주함으로써 독특한 우울함과 감성을 표현합니다.
- 콜 앤 리스폰스: 질문과 답변 형식의 가사 구조를 통해 청자와 소통하고 감정을 공유합니다.
- 즉흥 연주: 부르스는 즉흥 연주의 중요한 요소이며, 연주자의 개성과 감정을 자유롭게 표현합니다.
장르 및 영향
부르스는 델타 부르스, 시카고 부르스, 컨트리 부르스 등 다양한 하위 장르로 발전했습니다. 또한 로큰롤, 재즈, 리듬 앤 블루스 등 현대 대중음악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으며, 많은 뮤지션들에게 영감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주요 부르스 뮤지션
- 로버트 존슨
- 머디 워터스
- 비비 킹
- 하울링 울프
- 베시 스미스
참고 문헌
- 남희성. (2014). 블루스. 커뮤니케이션북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