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시
복시는 하나의 물체가 두 개로 보이는 시각 증상을 의미한다. 이는 정상적인 양안시 기능에 이상이 생겨 발생하며, 한쪽 눈을 가리면 증상이 사라지는 것이 특징이다.
원인:
복시는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으며, 크게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다.
- 신경학적 원인: 뇌신경 마비 (특히 동안신경, 활차신경, 외전신경), 뇌졸중, 다발성 경화증, 중증 근무력증 등 신경계 질환이 안구 운동을 담당하는 신경에 영향을 미쳐 발생할 수 있다.
- 안과적 원인: 사시, 굴절 이상 (심한 난시), 백내장, 각막 이상, 눈꺼풀 처짐(안검하수) 등 눈 자체의 문제로 인해 발생할 수 있다.
- 외상: 안와 골절, 안구 손상 등 외상으로 인해 안구 운동 근육이나 신경이 손상되어 발생할 수 있다.
- 기타 원인: 갑상선 질환, 당뇨병, 고혈압 등 전신 질환의 합병증으로 발생할 수도 있으며, 드물게는 약물 부작용으로 인해 발생하기도 한다.
증상:
주요 증상은 하나의 물체가 두 개로 보이는 것이며, 이 외에도 다음과 같은 증상이 동반될 수 있다.
- 흐릿한 시야
- 눈의 피로
- 두통
- 어지럼증
- 메스꺼움
- 사물의 거리감각 저하
진단:
복시의 원인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안과 검진과 함께 신경학적 검사가 필요할 수 있다. 안과 검진에서는 시력 검사, 굴절 검사, 안구 운동 검사, 사시 검사, 세극등 현미경 검사, 안저 검사 등을 통해 눈의 이상 여부를 확인한다. 신경학적 검사로는 뇌 MRI, 뇌 CT 등을 통해 뇌신경 및 뇌의 이상 여부를 확인한다.
치료:
복시의 치료는 원인 질환에 따라 달라진다.
- 신경학적 원인: 원인 질환에 대한 약물 치료, 물리 치료, 수술적 치료 등을 시행한다.
- 안과적 원인: 굴절 이상 교정 (안경, 콘택트렌즈), 사시 교정 수술, 백내장 수술 등을 시행한다.
- 외상: 손상 정도에 따라 수술적 치료를 고려할 수 있다.
- 기타 원인: 원인 질환에 대한 치료를 병행한다.
증상 완화를 위해 프리즘 안경을 착용하거나, 한쪽 눈을 가리는 방법도 사용될 수 있다.
예방:
복시의 예방은 원인 질환을 예방하는 것이 중요하며, 정기적인 안과 검진을 통해 조기에 발견하고 치료하는 것이 중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