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호
백호(白虎)는 흰색 털을 가진 호랑이를 일컫는 말이다. 호랑이의 아종 중 하나인 벵골호랑이에서 주로 나타나는 현상으로, 멜라닌 색소 부족으로 인해 털색이 흰색으로 변이된 개체이다. 알비노와는 달리 털에 검은색 줄무늬가 나타나며, 눈 색깔은 푸른색을 띤다.
특징
- 외형: 흰색 바탕에 검은색 줄무늬가 있으며, 푸른색 눈을 가지고 있다. 일반적인 벵골호랑이보다 크기가 약간 큰 경향이 있다.
- 발생 원인: 멜라닌 색소 부족으로 인한 유전적 변이로 발생한다. 열성 유전 형질을 가지고 있어, 부모 모두 해당 유전자를 가지고 있어야 백호가 태어날 확률이 높아진다.
- 생태: 일반적인 호랑이와 동일한 생태적 지위를 가지며, 사냥 방식이나 먹이 습성 등도 동일하다. 다만, 눈에 띄는 흰색 털 때문에 야생에서의 생존에 불리할 수 있다는 주장도 있다.
- 분포: 주로 인도, 네팔, 부탄, 방글라데시 등지에 서식하는 벵골호랑이 개체군에서 발견된다. 사육 상태의 백호는 전 세계 여러 동물원에서 찾아볼 수 있다.
문화적 의미
- 신성한 동물: 동아시아 문화권에서는 백호를 신성한 동물로 여겨왔다. 특히, 중국에서는 사신(四神) 중 서쪽을 지키는 신으로 숭배받으며, 정의와 용맹함을 상징한다.
- 행운의 상징: 흰색은 순수와 행운을 상징하는 색으로 여겨져, 백호는 길조를 가져다주는 동물로 인식되기도 한다.
- 창작물: 백호는 다양한 소설, 게임, 영화 등 창작물에서 강력한 힘을 가진 신수(神獸) 또는 영물(靈物)로 등장한다.
보존 상태
백호는 유전적 변이로 인해 발생하는 희귀한 개체이기 때문에, 야생에서의 개체수는 매우 적다. 멸종 위기에 처한 벵골호랑이의 아종으로 분류되어 보호받고 있으며, 사육 상태의 백호에 대한 유전적 다양성 확보를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