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79,049건

바이러스 잠복

바이러스 잠복 (Viral latency) 은 바이러스가 숙주 세포 내에 존재하지만 즉각적인 복제를 하지 않고, 숙주에 눈에 띄는 해를 끼치지 않는 상태를 의미한다. 잠복 상태의 바이러스는 숙주의 면역 감시망을 피하여 장기간 생존할 수 있으며, 특정 조건 하에서 활성화되어 증식을 재개하고 질병을 유발할 수 있다.

특징

  • 비활성 상태 유지: 잠복 상태의 바이러스는 숙주 세포 내에서 최소한의 유전자 발현만을 하거나, 아예 발현하지 않는다. 이는 바이러스 복제에 필요한 단백질 생산을 억제함으로써 숙주의 면역 반응을 회피하는 데 도움을 준다.
  • 다양한 잠복 형태: 바이러스 종류에 따라 잠복 형태는 다양하게 나타난다. 일부 바이러스는 숙주 세포의 핵 내에 DNA 형태로 삽입되어 잠복하는 반면, 다른 바이러스는 세포질 내에 독립적인 형태로 존재하며 잠복한다.
  • 활성화 유발 요인: 잠복 바이러스는 다양한 요인에 의해 활성화될 수 있다. 이러한 요인에는 숙주의 면역력 저하, 스트레스, 다른 감염, 호르몬 변화 등이 포함된다. 활성화되면 바이러스는 복제를 시작하고 질병을 유발할 수 있다.
  • 만성 감염의 원인: 바이러스 잠복은 만성 감염의 주요 원인 중 하나이다. 잠복 바이러스는 숙주 내에 장기간 존재하면서 지속적인 건강 문제를 야기할 수 있으며, 때로는 암과 같은 심각한 질병을 유발하기도 한다.

관련 바이러스

  • 헤르페스 바이러스: 단순 헤르페스 바이러스 (HSV), 수두-대상포진 바이러스 (VZV), 엡스타인-바 바이러스 (EBV) 등은 신경 세포 또는 림프구에 잠복하여 간헐적으로 재활성화되어 질병을 일으킨다.
  • 인간 면역결핍 바이러스 (HIV): HIV는 CD4+ T 세포에 잠복하여 에이즈를 유발한다. 항레트로바이러스 치료로 바이러스 복제를 억제할 수 있지만, 잠복 상태의 바이러스를 완전히 제거하는 것은 어렵다.

치료 전략

현재 잠복 바이러스를 완전히 제거하는 치료법은 제한적이다. 대부분의 치료법은 바이러스의 활성화를 억제하거나, 재활성화된 바이러스를 표적으로 삼아 증식을 막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새로운 치료 전략으로는 잠복 상태의 바이러스를 활성화시켜 면역 반응에 의해 제거되도록 유도하는 방법 등이 연구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