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생물학
미생물학(微生物學, Microbiology)은 미생물을 연구하는 생물학의 한 분야이다. 미생물은 육안으로 식별하기 어려운 작은 생물체를 총칭하며, 세균(bacteria), 고세균(archaea), 진균(fungi, 곰팡이와 효모), 원생생물(protists), 그리고 바이러스(viruses) 등을 포함한다.
미생물학은 이러한 미생물의 형태, 생리, 생화학, 유전, 생태, 진화 등을 다루며, 인류의 건강, 환경, 산업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된다. 구체적으로는 다음과 같은 하위 분야를 포함한다.
-
세균학(Bacteriology): 세균의 구조, 생리, 유전, 분류 및 질병과의 관계 등을 연구한다.
-
진균학(Mycology): 곰팡이와 효모를 포함한 진균의 특성, 생태, 활용 및 질병과의 관계 등을 연구한다.
-
바이러스학(Virology): 바이러스의 구조, 복제, 유전, 진화 및 숙주와의 상호작용 등을 연구한다.
-
원생생물학(Protozoology): 원생생물의 형태, 생리, 생태 및 질병과의 관계 등을 연구한다.
-
의학미생물학(Medical Microbiology): 인간에게 질병을 일으키는 미생물의 특성과 질병의 진단, 치료, 예방 등을 연구한다.
-
환경미생물학(Environmental Microbiology): 환경 내 미생물의 역할, 오염 물질 분해, 생태계 기능 등을 연구한다.
-
산업미생물학(Industrial Microbiology): 산업적으로 유용한 미생물의 활용, 발효 공정, 항생 물질 생산 등을 연구한다.
미생물학은 17세기 후반 안톤 판 레이우엔훅(Antonie van Leeuwenhoek)에 의해 현미경이 발명되면서 시작되었으며, 로베르트 코흐(Robert Koch)와 루이 파스퇴르(Louis Pasteur) 등의 연구를 통해 질병의 원인으로서 미생물의 역할이 밝혀지면서 급속도로 발전하였다. 현대에는 분자생물학, 유전체학 등의 발전과 함께 미생물학 또한 더욱 심도 있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