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39,780건

무로마치 시대

무로마치 시대(일본어: 室町時代, むろまちじだい)는 일본사 시대 구분 중 하나로, 1336년 아시카가 다카우지(足利尊氏)가 교토 무로마치에 막부(幕府)를 세운 때부터 1573년 오다 노부나가(織田信長)가 마지막 쇼군 아시카가 요시아키(足利義昭)를 추방하여 막부가 멸망한 때까지의 기간을 말한다. 이 시기는 아시카가 막부(足利幕府), 또는 무로마치 막부가 일본을 통치한 시대로 알려져 있다.

무로마치 시대는 크게 다음과 같은 시기로 나눌 수 있다.

  • 남북조 시대 (南北朝時代, 1336년~1392년): 아시카가 다카우지가 막부를 세운 후, 고다이고 천황(後醍醐天皇)이 요시노(吉野)로 피신하여 남조(南朝)를 세우면서 교토의 북조(北朝)와 대립한 시기이다. 3대 쇼군 아시카가 요시미쓰(足利義満)에 의해 남북조가 통일되면서 혼란이 종식되었다.
  • 무로마치 막부 안정기 (1392년~1467년): 남북조 통일 이후 막부의 권위가 절정에 달했던 시기이다. 특히 아시카가 요시미쓰 시기에 막부의 중앙 집권 체제가 강화되고 명(明)과의 감합 무역(勘合貿易)이 활발해졌다. 그러나 시간이 지나면서 쇼군의 권력이 약화되고 슈고 다이묘(守護大名)의 힘이 강해졌다.
  • 전국 시대 (戦国時代, 1467년~1573년): 오닌의 난(応仁の乱, 1467년~1477년)을 기점으로 시작된 전국적인 내란 시기이다. 슈고 다이묘들 간의 다툼과 하극상 풍조 속에서 막부의 통제력은 완전히 상실되었고, 전국 각지에서 센고쿠 다이묘(戦国大名)라 불리는 새로운 세력들이 대두하여 영토 확장을 위한 전쟁을 벌였다. 이 시기는 1573년 오다 노부나가가 아시카가 막부를 멸망시키고 통일 사업을 시작하면서 마무리된다.

정치: 무로마치 막부는 쇼군을 정점으로 하여 간레이(管領) 등이 보좌하는 체제였다. 지방은 슈고(守護)를 통해 통치했으나, 점차 슈고가 슈고 다이묘로 성장하여 막부의 통제에서 벗어나 독립적인 세력으로 발전했다. 오닌의 난 이후에는 슈고 다이묘마저도 가신이나 고쿠진(国人)들에게 하극상으로 쓰러지는 경우가 빈번했으며, 이들을 대신하여 센고쿠 다이묘가 등장했다.

경제: 농업 생산력이 향상되고 상업이 발달했다. 특히 사카이(堺)나 하카타(博多)와 같은 항구 도시와 상업 도시가 성장했다. 명나라와의 감합 무역, 조선 및 동남아시아와의 무역이 활발했으며, 화폐 경제가 보급되었다.

문화: 무로마치 시대는 무가(武家) 문화와 공가(公家) 문화가 융합되고, 선종(禅宗) 불교의 영향이 강했던 시기이다. 초기에는 3대 쇼군 아시카가 요시미쓰의 기타야마(北山) 별장인 금각(金閣, 로쿠온지)을 중심으로 한 화려한 기타야마 문화(北山文化)가 발달했다. 후기에는 8대 쇼군 아시카가 요시마사(足利義政)의 히가시야마(東山) 별장인 은각(銀閣, 지쇼지)을 중심으로 한 간소하고 세련된 히가시야마 문화(東山文化)가 발달했다. 주요 문화 요소로는 수묵화(水墨画), 노(能) 극, 교겐(狂言), 다도(茶道), 이케바나(生け花, 꽃꽂이), 가레산스이(枯山水, 마른 산수) 정원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