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21,099건

망매지갈

망매지갈(望梅止渴)은 실제로 갈증을 해소할 방법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매실을 상상하며 갈증을 멈춘다는 뜻의 고사성어이다. 실질적인 해결책 없이 헛된 망상으로 위기를 모면하려 하거나, 임시방편으로 어려움을 넘기려는 상황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이다.

유래

《세설신어(世說新語)》 가색(假飾)편에 등장하는 이야기에서 유래되었다. 삼국시대 위나라의 조조(曹操)가 군대를 이끌고 행군하던 중, 물이 부족하여 병사들이 심한 갈증에 시달렸다. 조조는 앞쪽에 매실 숲이 있다고 거짓으로 말하며 병사들에게 침을 흘리게 하여 갈증을 잠시나마 잊게 했다.

의미

  • 표면적 의미: 매실을 바라보며 갈증을 멈춘다.
  • 함축적 의미: 실질적인 해결책 없이 헛된 망상이나 임시방편으로 어려움을 넘기려 함.

활용 예시

  • "그 회사의 경영난은 망매지갈식 처방으로 일시적으로 모면했을 뿐, 근본적인 해결책은 아니었다."
  • "그의 약속은 망매지갈에 불과했다. 실제로 도움을 받지는 못했다."

유사한 표현

  • 아전인수(我田引水): 자기 논에 물을 끌어댄다는 뜻으로, 자기에게만 이롭게 되도록 행동하거나 해석하는 것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미봉책(彌縫策): 찢어진 옷을 임시로 꿰매어 입는다는 뜻으로, 당장의 급한 어려움만 겨우 모면하는 계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