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20,811건

망막

망막 (網膜, Retina)은 안구의 가장 안쪽에 위치한 얇은 신경 조직 층으로, 눈으로 들어온 빛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뇌로 전달하는 역할을 담당하는 시각 기관의 핵심 부분이다. 카메라의 필름이나 디지털 카메라의 이미지 센서에 비유될 수 있다.

구조

망막은 여러 층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주요 구성 요소는 다음과 같다.

  • 망막색소상피 (Retinal Pigment Epithelium, RPE): 망막의 가장 바깥쪽 층으로, 광수용체 세포에 영양을 공급하고 노폐물을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빛을 흡수하여 산란을 줄이고 시각 기능을 향상시키는 데 기여한다.

  • 광수용체 세포 (Photoreceptor Cells): 빛을 감지하는 세포로, 간상세포(막대세포)와 추상세포(원뿔세포)로 나뉜다. 간상세포는 어두운 환경에서 명암을 감지하는 데 특화되어 있으며, 추상세포는 밝은 환경에서 색깔과 세밀한 시각 정보를 감지하는 데 특화되어 있다.

  • 신경절 세포 (Ganglion Cells): 광수용체 세포에서 전달된 신호를 받아 시신경을 통해 뇌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 신경섬유층 (Nerve Fiber Layer): 신경절 세포의 축삭들이 모여 시신경을 형성하는 층이다.

  • 내경계막 (Inner Limiting Membrane): 망막의 가장 안쪽 층으로, 초자체와 망막을 분리하는 역할을 한다.

기능

망막은 빛 에너지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광변환(phototransduction) 과정을 통해 시각 정보를 처리한다. 광수용체 세포가 빛을 감지하면 일련의 화학 반응을 거쳐 전기적 신호가 발생하고, 이 신호는 중간 신경세포를 거쳐 신경절 세포로 전달된다. 신경절 세포에서 생성된 신호는 시신경을 통해 뇌의 시각피질로 전달되어 최종적인 시각 정보로 해석된다.

임상적 중요성

망막은 다양한 질환에 취약하며, 망막 질환은 시력 저하 또는 실명으로 이어질 수 있다. 흔한 망막 질환으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 망막 박리 (Retinal Detachment): 망막이 망막색소상피로부터 떨어져 나가는 질환이다.

  • 황반변성 (Macular Degeneration): 망막의 중심 부위인 황반이 손상되어 시력이 저하되는 질환이다.

  • 당뇨망막병증 (Diabetic Retinopathy): 당뇨병으로 인해 망막 혈관이 손상되는 질환이다.

  • 망막 혈관 폐쇄 (Retinal Vascular Occlusion): 망막 혈관이 막혀 혈액 공급이 차단되는 질환이다.

이러한 망막 질환은 조기 진단과 치료를 통해 시력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정기적인 안과 검진을 통해 망막 건강을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