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31,026건

마비

마비는 신체의 일부 또는 전체의 운동 기능 상실 또는 저하를 의미하는 의학적 용어이다. 신경계의 손상, 질병 또는 장애로 인해 발생하며, 마비의 정도는 부분적인 약화(파레시스, paresis)부터 완전한 운동 기능 상실(플레지아, plegia)까지 다양하다. 마비는 영향을 받는 신체 부위와 원인에 따라 다양한 증상과 심각도를 보인다.

원인: 마비의 원인은 다양하며, 다음과 같은 것들이 포함된다.

  • 신경계 손상: 뇌졸중, 외상성 뇌손상, 척수 손상, 다발성 경화증, 길랑-바레 증후군 등의 질병 및 외상으로 인한 신경계 손상이 마비의 주요 원인이다.
  • 신경근육 질환: 근위축성 측색 경화증(ALS), 중증 근무력증과 같은 질환은 신경과 근육 사이의 신호 전달을 방해하여 마비를 유발할 수 있다.
  • 감염: 폴리오, 뇌염 등의 감염은 신경계를 손상시켜 마비를 일으킬 수 있다.
  • 혈관 질환: 뇌혈관 질환이나 말초 혈관 질환은 신경 조직으로의 혈액 공급을 감소시켜 마비를 유발할 수 있다.
  • 독소: 특정 독소나 약물의 노출 또한 마비를 일으킬 수 있다.
  • 종양: 뇌종양이나 척수종양 등이 신경 조직을 압박하여 마비를 유발할 수 있다.
  • 선천적 기형: 드물지만 선천적인 신경계 기형으로 인해 마비가 발생할 수 있다.

종류: 마비는 영향받는 신체 부위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될 수 있다.

  • 사지마비 (Quadriplegia/Tetraplegia): 팔과 다리 모두에 마비가 발생하는 경우
  • 하지마비 (Paraplegia): 다리에만 마비가 발생하는 경우
  • 편마비 (Hemiplegia): 신체의 한쪽(팔과 다리)에만 마비가 발생하는 경우
  • 단마비 (Monoplegia): 신체의 한쪽 팔이나 다리에만 마비가 발생하는 경우

진단 및 치료: 마비의 진단은 신경학적 검사, 신경전도 검사, 근전도 검사, MRI, CT 스캔 등을 통해 이루어진다. 치료는 원인에 따라 다르며, 약물 치료, 물리 치료, 작업 치료, 재활 치료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참고: 마비는 심각한 장애를 유발할 수 있으며, 적절한 진단과 치료가 중요하다. 본 설명은 일반적인 정보 제공을 목적으로 하며, 의학적 조언으로 간주되어서는 안된다. 마비 증상이 나타날 경우 의사의 진료를 받는 것이 중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