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31,251건

도불습유

도불습유(道不拾遺)는 길에 떨어진 물건을 주워 가지 않는다는 뜻으로, 사회의 도덕 수준이 매우 높아졌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고사성어이다.

유래

《예기(禮記)》의 '탄궁(檀弓)'편과 《한서(漢書)》의 '형법지(刑法志)'에 등장하는 고사에서 유래되었다. 태평성대에는 길에 떨어진 물건을 탐내는 사람이 없어 자연스럽게 주워 가지 않게 된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의미

도불습유는 단순히 물건을 줍지 않는 행위를 넘어, 사회 구성원들의 높은 도덕적 의식과 서로를 신뢰하는 사회 분위기를 나타낸다. 탐욕과 이기심이 사라지고 서로 배려하는 마음이 가득한 이상적인 사회를 묘사하는 표현으로 사용된다.

용례

  • "우리 사회가 도불습유의 경지에 이르도록 노력해야 한다."
  • "그 시대는 백성들이 정직하여 도불습유의 풍속이 있었다고 한다."
  • "경제 발전과 함께 도덕성 회복을 통해 도불습유를 실현하는 것이 중요하다."

관련 어구

  • 야불폐호(夜不閉戶): 밤에도 문을 잠그지 않는다는 뜻으로, 사회가 안정되고 치안이 잘 되어 있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화불입도(貨不入盜): 물건이 도둑맞지 않는다는 뜻으로, 사회의 기강이 바로 서고 도둑이 없을 정도로 치안이 잘 되어 있음을 이르는 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