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화
담화는 언어학에서 화자와 청자 사이에서 이루어지는 실제적인 언어 사용의 단위를 지칭하는 용어이다. 문법적으로 완결된 문장들의 단순한 결합을 넘어, 특정한 맥락 속에서 의미를 구성하고 소통을 이루는 언어 활동 전체를 포괄한다.
개념 및 특징
담화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지닌다.
- 맥락 의존성: 담화의 의미는 발화 상황, 참여자 간의 관계, 사회문화적 배경 등 다양한 맥락에 따라 달라진다. 따라서 동일한 문장이라도 맥락에 따라 전혀 다른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 의도성: 담화는 화자의 특정한 의도를 가지고 발화된다. 청자는 화자의 의도를 파악하고 적절하게 반응함으로써 소통이 이루어진다.
- 상호작용성: 담화는 화자와 청자 간의 상호작용을 통해 진행된다. 질문과 답변, 주장과 반박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며, 이를 통해 의미가 협상되고 공유된다.
- 응집성 및 결속성: 담화는 개별 문장들이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하나의 통일된 의미를 형성해야 한다. 이를 위해 지시어, 접속어, 반복 등 다양한 언어적 장치가 사용된다.
담화 분석
담화 분석은 실제 언어 사용을 체계적으로 연구하는 학문 분야이다. 담화 분석가들은 다양한 유형의 담화(예: 대화, 연설, 뉴스 기사, 소셜 미디어 게시물)를 분석하여 언어 사용의 규칙과 패턴, 사회적 의미 등을 밝혀낸다.
담화의 유형
담화는 다양한 기준으로 분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참여자 수에 따라 독백, 대화, 토론 등으로 나눌 수 있으며, 목적에 따라 정보 전달, 설득, 친교 등으로 나눌 수 있다. 또한, 매체에 따라 구어 담화, 문어 담화, 시각 담화 등으로 나눌 수 있다.
관련 개념
- 텍스트: 문자로 기록된 담화의 결과물
- 화용론: 언어 사용의 맥락적 의미를 연구하는 학문
- 사회언어학: 언어와 사회의 관계를 연구하는 학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