능청
능청은 다음과 같은 의미를 지닌다.
1. 정의:
능청은 짐짓 모르는 척, 또는 시치미를 떼는 태도를 일컫는 말이다. 속으로는 훤히 알면서도 일부러 어리석은 척하거나 순진한 척하는 것을 의미하며, 때로는 뻔뻔스러움이나 교활함과도 연결될 수 있다.
2. 어원:
능청의 정확한 어원은 불분명하나, '능글맞다'와 어근을 공유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능글맞다'는 기름이 묻은 것처럼 미끈하고 뻔뻔스러운 태도를 묘사하는 형용사로, 능청 또한 이와 유사한 맥락에서 이해할 수 있다.
3. 특징:
- 고의성: 능청은 무지나 착오에서 비롯되는 것이 아니라, 의도적으로 상황을 회피하거나 유리하게 만들기 위한 행위이다.
- 연기성: 능청을 부리는 사람은 실제 감정이나 생각을 숨기고 다른 모습을 연출한다.
- 상황 적응성: 능청은 특정한 상황이나 대상에 맞춰 유연하게 변화하며, 때로는 유머나 해학으로 이어지기도 한다.
4. 용례:
- "그는 능청스럽게 모르는 척하며 책임을 회피했다."
- "그녀는 능청을 떨며 짓궂은 농담을 던졌다."
- "능청스러운 연기로 관객들을 웃겼다."
5. 긍정적/부정적 측면:
능청은 상황에 따라 긍정적 또는 부정적으로 해석될 수 있다. 곤란한 상황을 유머러스하게 넘기거나 분위기를 부드럽게 만드는 데 기여할 수 있지만, 책임을 회피하거나 타인을 기만하는 데 사용될 경우 비판받을 수 있다.
6. 관련 표현:
- 시치미 떼다
- 모르는 척하다
- 딴청 피우다
- 능글맞다
- 뻔뻔스럽다
7. 참고 문헌:
- 표준국어대사전
- 한국어 어원 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