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도
농도란 용액 내에 용질이 녹아 있는 정도를 나타내는 물리량이다. 용액의 성분 함량을 나타내는 여러 가지 방법이 있으며, 각 방법에 따라 농도의 단위가 달라진다. 용액의 농도는 용질의 양과 용매 또는 용액의 양의 비율로 표현되며, 일반적으로 용질의 양이 많을수록 농도가 높다고 한다. 농도가 높은 용액을 진한 용액(농후), 농도가 낮은 용액을 묽은 용액(희석)이라고 한다.
농도의 표현 방법:
농도를 나타내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으며, 각각의 장단점과 적용 분야가 다르다. 주요 표현 방법은 다음과 같다.
-
질량 퍼센트 농도 (w/w %): 용액 전체 질량에 대한 용질 질량의 백분율. 예를 들어, 10% (w/w) 설탕 용액은 100g의 용액 중 10g의 설탕이 녹아있는 것을 의미한다.
-
부피 퍼센트 농도 (v/v %): 용액 전체 부피에 대한 용질 부피의 백분율. 주로 액체 용질과 액체 용매의 혼합물에 사용된다. 예를 들어, 20% (v/v) 에탄올 용액은 100mL의 용액 중 20mL의 에탄올이 녹아있는 것을 의미한다.
-
질량 부피 퍼센트 농도 (w/v %): 용액 전체 부피에 대한 용질 질량의 백분율. 주로 고체 용질과 액체 용매의 혼합물에 사용된다. 예를 들어, 5% (w/v) 소금 용액은 100mL의 용액 중 5g의 소금이 녹아있는 것을 의미한다.
-
몰 농도 (M): 1 리터의 용액 속에 녹아있는 용질의 몰수. 단위는 mol/L 또는 M으로 표시한다. 화학 반응에서 반응물의 양을 계산할 때 많이 사용된다.
-
몰랄 농도 (m): 1kg의 용매에 녹아있는 용질의 몰수. 단위는 mol/kg 또는 m으로 표시한다. 온도 변화에 따른 농도 변화가 적다는 장점이 있다.
-
노르말 농도 (N): 1 리터의 용액 속에 녹아있는 용질의 그램 당량수. 산-염기 반응이나 산화-환원 반응에서 많이 사용되지만, 현재는 몰 농도가 더 많이 사용된다.
참고: 위에 열거된 방법 외에도 여러 가지 농도 표현 방법이 있으며, 특정 분야에서는 특정 농도 표현 방법을 주로 사용한다. 농도를 표현할 때는 어떤 방법을 사용했는지 명확히 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