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새 두 마리
노새 두 마리는 대한민국의 소설가 최일남이 1970년에 발표한 단편 소설이다. 한국 현대문학의 주요 작품 중 하나로 평가받으며, 급격한 산업화와 도시화 과정에서 소외된 사람들의 삶과 그들이 겪는 어려움을 사실적으로 묘사하고 있다.
소설은 도시 변두리에서 연탄 배달을 하며 살아가는 아버지와 아들의 이야기를 중심으로 전개된다. 이들은 생계 유지를 위해 두 마리의 노새를 부리는데, 이는 급격하게 변화하는 도시 환경 속에서 점차 설 자리를 잃어가는 전통적인 삶의 방식과 소외된 계층의 고단한 삶을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주인공인 아버지와 아들은 가난과 사회적 무관심 속에서도 인간적인 존엄성을 지키려 노력하지만, 변화하는 세상과의 괴리 속에서 어려움을 겪는다. 특히 노새는 단순히 운송 수단을 넘어, 부자의 짊어진 삶의 무게와 고단함을 나타내는 중요한 상징물로 기능한다. 소설은 이들의 일상과 갈등을 통해 산업화 및 도시화 과정에서 발생하는 빈부격차, 소외 계층의 삶, 기성세대와 신세대 간의 가치관 충돌 등 당시 한국 사회의 어두운 단면을 현실적으로 묘사한다.
이 작품은 간결하면서도 깊이 있는 문체와 상징적인 소재의 활용으로 독자들에게 강한 인상을 남겼으며, 발표 이후 현재까지도 한국 현대문학의 중요한 작품으로 꾸준히 읽히고 연구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