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39,675건

글루코실기전이효소

글루코실기전이효소(Glucosyltransferase)는 효소의 일종으로, 공여체 분자에서 수용체 분자로 글루코실기(glucose residue)를 전이시키는 반응을 촉매한다. 이 과정을 통해 새로운 글리코사이드 결합이 형성된다. 이는 넓은 범위의 글리코실기전이효소(Glycosyltransferase) 군에 속한다.

특징 및 메커니즘 글루코실기전이효소는 효소의 국제 분류 체계(EC)에서 전이효소(Transferase)에 해당하는 EC 2군에 속하며, 특히 글리코실기를 전이하는 효소로서 EC 2.4군, 그 중에서도 단당류 잔기를 전이하는 EC 2.4.1.x 서브클래스에 해당한다. 일반적으로 글루코실기의 공여체는 활성화된 형태의 글루코스, 예를 들어 UDP-글루코스(UDP-glucose) 또는 ADP-글루코스(ADP-glucose) 등이 사용된다. 수용체는 탄수화물, 단백질, 지질, 또는 저분자 화합물(스테로이드, 페놀 등) 등이 될 수 있다. 효소는 공여체와 수용체를 결합시켜 글루코실기를 전이시키고, 이 과정에서 공여체는 UDP나 ADP 등으로 방출된다.

생물학적 역할 글루코실기전이효소는 생명체 내에서 매우 다양한 생화학적 기능을 수행한다. 주요 기능은 다음과 같다.

  • 탄수화물 대사: 글리코겐(Glycogen)이나 전분(Starch)과 같은 저장성 다당류를 합성하는 데 관여한다.
  • 생체 분자 합성: 당단백질(Glycoprotein), 당지질(Glycolipid) 등 세포의 구조와 기능에 중요한 분자를 합성하는 데 필수적이다.
  • 식물 세포벽 합성: 셀룰로스(Cellulose) 등 식물 세포벽의 주요 구성 성분을 합성하는 데 기여한다.
  • 해독 작용: 체내 독성 물질이나 외래 물질(약물, 환경 오염 물질) 또는 특정 내인성 물질(예: 빌리루빈)에 글루코스를 결합시켜 수용성을 높이고 배출을 용이하게 한다(포합 반응).
  • 신호 전달: 특정 단백질의 글루코실화는 단백질의 기능, 활성, 위치 등에 영향을 미쳐 세포 내 신호 전달 과정에 관여할 수 있다.

중요성 글루코실기전이효소는 세포 내부에서 다양한 구조 및 기능 분자를 합성하거나 외부 물질의 대사에 관여하며, 생명 유지에 필수적인 역할을 한다. 이 효소의 기능 이상은 특정 대사 질환이나 생리적 문제로 이어질 수 있다. 또한, 일부 세균 독소는 숙주 세포의 표적 단백질을 글루코실화하여 세포 기능을 교란시키고 병원성을 나타내기도 한다. 식물에서는 스트레스 반응이나 방어 물질 생성에도 관여하는 등 광범위한 생명 현상에 깊이 연관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