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30,524건

구공탄

구공탄은 연탄의 한 종류로, 표면에 9개의 구멍이 뚫린 것이 특징이다. 주로 난방 및 취사용 연료로 사용되었으며, 과거 대한민국에서 널리 사용되었으나 점차 사용량이 감소하고 있다.

특징

  • 구멍: 구공탄의 가장 큰 특징은 표면에 뚫린 9개의 구멍이다. 이 구멍들은 연소 면적을 넓혀 연소 효율을 높이고, 공기 순환을 용이하게 하여 완전 연소를 돕는 역할을 한다. 또한, 구멍을 통해 연탄 가스가 빠져나가도록 설계되어 일산화탄소 중독 사고를 예방하는 데에도 기여한다.
  • 재료: 구공탄은 주로 무연탄을 주원료로 하여 점결제, 소석회 등을 혼합하여 만든다. 무연탄은 연소 시 연기가 적게 발생하고 화력이 좋은 장점이 있다.
  • 크기 및 형태: 일반적인 구공탄은 원통형이며, 지름은 약 15cm 정도이다. 높이는 구멍의 크기, 제조사 등에 따라 약간씩 차이가 있을 수 있다.
  • 사용 용도: 주로 가정용 난방 및 취사용 연료로 사용되었으며, 과거에는 식당 등에서도 널리 사용되었다.

역사

구공탄은 1960년대 후반부터 대한민국에 보급되기 시작하여, 1970년대와 1980년대에 걸쳐 서민들의 주요 난방 연료로 자리 잡았다. 저렴한 가격과 비교적 높은 열효율 덕분에 많은 가정에서 사용되었으나, 1990년대 이후 도시가스 보급 확대와 함께 사용량이 점차 감소하였다.

문제점 및 환경 영향

  • 일산화탄소 중독: 구공탄은 불완전 연소 시 일산화탄소를 발생시키므로, 환기가 불충분한 공간에서 사용하면 일산화탄소 중독의 위험이 있다.
  • 대기 오염: 구공탄 연소 시 발생하는 매연과 미세먼지는 대기 오염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 채탄 과정의 문제: 무연탄 채굴 과정에서 발생하는 환경 파괴 및 안전 문제도 지적되고 있다.

현재

현재 구공탄은 과거에 비해 사용량이 현저히 줄었지만, 여전히 일부 지역이나 업소에서 사용되고 있다. 정부는 저소득층에 대한 난방비 지원 정책을 통해 구공탄 사용 가구의 경제적 부담을 덜어주고 있으며, 친환경 연료 보급을 통해 구공탄 사용을 점진적으로 줄여나갈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