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용차
관용차는 국가, 지방 자치 단체, 공공 기관, 또는 이에 준하는 기관에서 공적인 업무 수행을 위해 사용하는 자동차를 말한다. 일반적으로 해당 기관의 소유이거나 임차하여 사용하며, 공무 수행, 의전, 행사 지원, 현장 점검 등 다양한 목적으로 활용된다.
특징
- 소유 및 관리: 관용차는 해당 기관의 자산으로 관리되며, 예산에 따라 구매, 임차, 유지 보수 등이 이루어진다.
- 운영 규정: 관용차 운용에는 기관 내부 규정이 적용되며, 사용 목적, 배차, 운행 기록 관리 등에 대한 절차가 마련되어 있다.
- 차량 종류: 승용차, 승합차, 화물차 등 다양한 종류의 차량이 관용차로 사용될 수 있으며, 기관의 필요에 따라 특수 목적 차량 (예: 구급차, 소방차)도 포함될 수 있다.
- 번호판: 과거에는 일반 차량과 구별되는 관용차 번호판을 사용하기도 했으나, 현재는 대부분 일반 번호판을 사용한다.
논란 및 개선 노력
과거에는 일부 기관에서 관용차를 사적인 용도로 사용하는 사례가 발생하여 논란이 되기도 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관용차 운행 기록 관리 강화, 배차 시스템 개선, 차량 통폐합 등 다양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불필요한 관용차를 줄이고 카 셰어링 등 공유 차량 시스템을 도입하는 방안도 모색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