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31,243건

고려사절요

《고려사절요》(高麗史節要)는 조선 시대에 편찬된 고려 시대의 역사를 다룬 편년체 사서이다. 《고려사》의 내용을 요약, 정리하여 간략하게 만든 책으로, 세종 때 편찬되기 시작하여 문종 때 완성되었다.

개요

《고려사절요》는 김종서, 정인지 등이 왕명에 따라 《고려사》를 참고하여 편찬하였다. 《고려사》의 방대한 내용을 간추려 왕력(王歷)에 따라 편년체로 서술하여 역사의 흐름을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사실(史實)의 중요도에 따라 내용을 가감하고, 《고려사》의 오류를 수정하기도 하였다.

구성

총 39권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고려 태조부터 공양왕까지 34대 왕의 역사를 다루고 있다. 각 왕의 재위 기간 동안 일어난 주요 사건을 연대순으로 기록하고 있으며,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 다양한 분야의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특징

  • 《고려사》의 내용을 요약, 정리하여 간략하게 서술
  • 왕력에 따라 편년체로 구성하여 역사의 흐름을 쉽게 파악
  • 《고려사》의 오류를 수정하고 내용을 보완
  • 고려 시대의 역사를 연구하는 데 중요한 자료

의의

《고려사절요》는 《고려사》와 함께 고려 시대의 역사를 연구하는 데 중요한 자료로 평가받고 있다. 특히, 《고려사》의 내용을 간략하게 정리하여 역사의 흐름을 파악하는 데 용이하며, 《고려사》의 오류를 수정하는 데 기여하였다. 또한, 조선 시대의 역사 인식과 사관을 이해하는 데에도 중요한 자료가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