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29,916건

경락

경락(經絡)은 전통 한의학에서 인체 내 기(氣)와 혈(血)이 순환하는 통로를 의미한다. 경(經)은 세로로 흐르는 주요 경로를, 락(絡)은 경에서 갈라져 나와 몸 전체에 퍼지는 작은 가지들을 뜻한다. 경락은 장부(臟腑), 기골(氣骨), 피부 등 인체의 각 부분과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이를 통해 인체는 유기적인 관계를 유지한다고 본다.

주요 개념

  • 기(氣): 생명 활동을 유지하는 기본적인 에너지 또는 생명력. 경락을 통해 전신으로 운반된다.
  • 혈(血): 기와 함께 전신을 순환하며 영양을 공급하는 액체.
  • 경혈(經穴): 경락 상에 위치한 특정 지점으로, 침, 뜸, 지압 등을 통해 기혈의 흐름을 조절하는 데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혈자리라고 불린다.
  • 장부(臟腑): 오장육부를 의미하며, 경락을 통해 서로 연결되어 기능적으로 상호작용한다.

경락의 종류

경락은 크게 다음과 같이 분류된다.

  • 정경(正經): 12개의 주요 경락으로, 각각 오장육부와 연결되어 있다. 12경맥이라고도 한다.
  • 기경팔맥(奇經八脈): 12정경과 연결되어 있으며, 기혈을 저장하고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고 여겨진다. 독맥, 임맥 등이 이에 속한다.

경락의 중요성

경락은 인체의 생리적 기능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여겨진다. 경락의 흐름이 막히거나 불균형해지면 질병이 발생할 수 있다고 보며, 침, 뜸, 한약, 추나요법 등의 한의학적 치료는 경락의 흐름을 조절하여 질병을 예방하고 치료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현대적 연구

경락의 존재 및 기능에 대한 현대 과학적 연구는 아직 진행 중이며, 일부 연구에서는 경락이 신경, 혈관, 림프관 등과 연관되어 있을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경락의 정확한 실체와 작용 기전에 대해서는 여전히 논쟁의 여지가 남아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