객관식
객관식이란, 주어진 질문이나 문제에 대해 미리 제시된 여러 개의 선택지 중에서 정답 또는 가장 적절한 답을 고르는 평가 방식이다. 주로 시험, 설문 조사, 퀴즈 등 다양한 상황에서 사용되며, 채점의 용이성과 객관성을 높이는 데 목적이 있다.
객관식 문항은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요소로 구성된다.
-
문두(stem): 질문 또는 문제 상황을 제시하는 부분이다. 명확하고 간결하게 작성되어야 하며, 정답을 추론할 수 있는 단서를 포함해서는 안 된다.
-
선택지(options): 정답을 포함하여 제시되는 여러 개의 보기이다. 일반적으로 정답과 오답(distractors)으로 구성된다. 오답은 그럴듯하게 만들어 응시자를 혼란스럽게 하는 역할을 한다.
-
정답(key): 문두에 대한 올바른 답을 가리킨다.
객관식 문항의 종류는 다음과 같이 다양하다.
-
선다형(multiple choice): 가장 일반적인 형태로, 여러 개의 선택지 중 하나를 고르는 방식이다.
-
진위형(true/false): 주어진 진술이 참인지 거짓인지 판단하는 방식이다.
-
연결형(matching): 두 그룹의 항목을 서로 연결하는 방식이다.
객관식 평가는 채점의 용이성, 객관성, 광범위한 내용 평가 가능성 등의 장점을 가진다. 그러나 창의성이나 문제 해결 능력과 같은 고차원적인 사고 능력을 평가하기 어렵고, 추측에 의한 정답 가능성이 존재한다는 단점도 있다. 효과적인 객관식 평가를 위해서는 문항의 질을 높이는 것이 중요하며, 다양한 평가 방식과 함께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