겹받침
겹받침은 한 음절의 받침 자리에 두 개의 자음이 오는 것을 말한다. 즉, 종성 위치에 두 개의 자음이 겹쳐서 나타나는 음운 현상이다. 국어의 음절 구조상, 받침은 자음 하나만 발음되는 것이 원칙이지만, 겹받침은 예외적으로 두 개의 자음이 결합된 형태로 나타난다.
겹받침의 종류
현대 국어에서 인정되는 겹받침은 다음과 같다.
- ㄳ: '넋', '삯' 등에 사용된다. 발음할 때는 'ㄱ'으로 발음된다.
- ㄵ: '앉', '얹' 등에 사용된다. 발음할 때는 'ㄴ'으로 발음된다.
- ㄶ: '많', '않' 등에 사용된다. 발음할 때는 앞의 자음에 따라 발음이 달라지며, 일반적으로 'ㄴ'으로 발음된다.
- ㄺ: '닭', '흙' 등에 사용된다. 발음할 때는 'ㄱ'으로 발음되지만, 일부 용언 어미 앞에서 'ㄹ'로 발음되기도 한다. (예: '맑다' → '맑고' [말꼬], '맑게' [말께])
- ㄻ: '삶', '굶' 등에 사용된다. 발음할 때는 'ㅁ'으로 발음된다.
- ㄼ: '넓', '밟' 등에 사용된다. 발음할 때는 'ㄹ'로 발음되지만, '밟-'의 경우 '밥-'으로 발음되는 경우가 있다.
- ㄽ: '곬', '핥' 등에 사용된다. 발음할 때는 'ㄹ'로 발음된다.
- ㄾ: '핥', '훑' 등에 사용된다. 발음할 때는 'ㄹ'로 발음된다.
- ㄿ: '읊' 등에 사용된다. 발음할 때는 'ㄹ'로 발음된다.
- ㅄ: '값', '없' 등에 사용된다. 발음할 때는 'ㅂ'으로 발음된다.
겹받침의 발음
겹받침은 원칙적으로 두 자음 중 하나만 발음된다. 어떤 자음이 발음되는지는 위에 제시된 규칙에 따른다. 다만, 일부 겹받침의 경우, 뒤에 모음으로 시작하는 조사가 올 때 연음되어 발음되기도 한다. (예: '닭이' [달기], '값이' [갑씨])
참고 문헌
-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