견진
견진성사 (堅振聖事, Confirmation)는 가톨릭교회와 성공회에서 집전하는 성사 중 하나이다. 세례성사를 통해 하느님의 자녀가 된 신자가 성령의 특별한 은총을 받아 신앙을 더욱 굳건히 하고, 교회의 완전한 구성원이 되도록 하는 예식이다. 개신교에서는 인정하지 않는다.
개요
견진성사는 세례, 성체성사와 함께 그리스도교 입문 성사에 속한다. 세례를 통해 그리스도인이 된 사람은 견진성사를 통해 성령의 힘을 받아 신앙을 증거하고 복음을 전파할 더욱 큰 능력을 얻게 된다고 여겨진다. 견진성사를 통해 신자는 그리스도와 더욱 굳게 결합되고, 교회의 사명에 더욱 깊이 참여하게 된다.
집전
견진성사는 원칙적으로 주교가 집전한다. 이는 견진성사가 사도들의 후계자인 주교를 통해 사도적 권위와 은총을 전달하는 의미를 지니기 때문이다. 다만, 특별한 경우에는 교황이나 주교의 위임을 받은 사제가 견진성사를 집전할 수 있다.
예식
견진성사의 예식은 다음과 같은 순서로 진행된다.
- 호명: 견진을 받는 사람의 이름을 호명한다.
- 강론: 주교는 견진성사의 의미와 중요성에 대해 강론한다.
- 서약 갱신: 견진을 받는 사람은 세례 때의 서약을 갱신하며, 자신의 신앙을 다시 한번 고백한다.
- 안수: 주교는 견진을 받는 사람에게 손을 얹고 성령의 은총을 기원한다.
- 도유: 주교는 축성된 성유(聖油, Chrisma)를 견진을 받는 사람의 이마에 바르며 "성령의 선물"이라고 말한다.
- 평화의 인사: 견진을 받은 사람은 주교와 평화의 인사를 나눈다.
의미와 효과
견진성사는 신자에게 다음과 같은 은총을 가져다준다고 믿어진다.
- 성령의 특별한 은총을 받음으로써 신앙이 더욱 굳건해짐.
- 하느님과의 관계가 더욱 깊어지고, 교회의 완전한 구성원이 됨.
- 신앙을 증거하고 복음을 전파할 능력을 얻게 됨.
- 그리스도의 증인으로서 세상에 나아갈 힘을 얻게 됨.
기타
- 견진성사를 받기 위해서는 일정한 교육을 받아야 한다.
- 견진성사를 받기 위한 나이는 교구마다 다를 수 있다.
- 견진성사를 받은 후에는 견진성사 때 받은 이름을 평생 간직하는 것이 일반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