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임 판타지
게임 판타지는 소설, 만화, 웹툰, 게임 등 다양한 창작물 장르 중 하나로, 가상현실 게임 세계를 배경으로 이야기가 전개되는 형식을 말한다. 주로 주인공이 가상현실 게임에 접속하여 퀘스트를 수행하고, 캐릭터를 성장시키며, 다른 플레이어들과 교류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사건들을 다룬다.
특징
- 가상현실 게임 세계: 현실과 유사하거나 전혀 다른 법칙이 적용되는 가상현실 게임 세계가 이야기의 주요 무대가 된다. 이 세계는 판타지, 무협, 현대, 미래 등 다양한 설정을 가질 수 있다.
- 게임 시스템: 캐릭터의 능력치, 스킬, 아이템, 퀘스트 등 게임 시스템이 이야기의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 주인공은 이러한 시스템을 활용하여 게임 세계에서 자신의 목표를 달성해 나간다.
- 성장: 주인공은 게임 내에서 경험치를 얻고 레벨업을 하거나, 새로운 스킬을 배우고 강력한 아이템을 획득하는 등 지속적인 성장을 이룬다. 이러한 성장은 독자에게 대리만족을 제공하고 이야기의 몰입도를 높인다.
- 사회성: 게임 세계는 다른 플레이어들과의 교류가 이루어지는 공간이기도 하다. 주인공은 파티를 맺어 협력하거나, 다른 길드와 경쟁하는 등 다양한 사회적 관계를 형성하며 이야기를 풀어나간다.
- 현실과의 연결 (선택적): 일부 게임 판타지 작품은 가상현실 게임 세계에서의 경험이 현실 세계에 영향을 미치는 설정을 사용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게임에서 얻은 능력이 현실에서도 발휘되거나, 게임 내에서의 사건이 현실 세계의 문제와 연결되는 경우가 있다.
유사 장르
- 이세계 전이/환생물: 주인공이 다른 세계로 이동하거나 환생하여 새로운 삶을 살아가는 이야기라는 점에서 게임 판타지와 유사하지만, 게임 시스템의 존재 유무가 중요한 차이점이다.
- VR 소설: 가상현실 기술을 소재로 활용한다는 점에서 게임 판타지와 유사하지만, 가상현실 세계가 반드시 게임의 형태를 띠고 있는 것은 아니다.
예시
- 달빛 조각사
- 아크
- 전지적 독자 시점 (일부 요소)
논쟁점
- 게임 밸런스: 게임 시스템의 허점을 이용한 주인공의 과도한 성장이나, 특정 직업/스킬의 지나친 강세 등 게임 밸런스 문제가 작품의 몰입도를 저해할 수 있다는 비판이 있다.
- 현실 도피: 가상현실 게임 세계에 지나치게 몰두하는 주인공의 모습이 현실 도피를 조장할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