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23,218건

간질액

간질액 (間質液, Interstitial fluid)은 세포와 혈관 사이에 존재하는 액체 성분으로, 세포외액의 주요 구성 요소 중 하나이다. 세포의 생존과 기능 유지에 필수적인 역할을 수행하며, 조직액(組織液)이라고도 불린다.

개요

간질액은 혈액에서 혈관벽을 통해 여과된 혈장 성분에서 기원하며, 세포에 영양분과 산소를 공급하고 세포 대사 과정에서 생성된 노폐물과 이산화탄소를 운반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세포의 외부 환경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데 기여하며, 세포 간의 신호 전달 물질의 확산을 돕는다.

구성 성분

간질액은 주로 물로 이루어져 있으며, 전해질(나트륨, 칼륨, 염소 등), 아미노산, 포도당, 지방산, 호르몬, 효소, 그리고 세포에서 분비된 다양한 물질들을 포함한다. 혈장과 유사한 조성을 가지지만, 단백질의 농도는 혈장에 비해 현저히 낮다. 이는 혈관벽의 선택적 투과성으로 인해 큰 분자량의 단백질이 간질액으로 쉽게 이동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순환

간질액은 모세혈관에서 세포로 영양분을 공급하고 노폐물을 받아들인 후, 대부분 다시 모세혈관으로 흡수되어 혈액으로 돌아간다. 일부 간질액은 림프관으로 흡수되어 림프액이 되며, 림프관을 따라 이동하여 림프절을 거쳐 다시 혈액으로 합류하게 된다. 이러한 간질액의 순환은 조직의 건강을 유지하고 면역 반응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관련 질환

간질액의 양이 비정상적으로 증가하는 경우 부종이 발생할 수 있다. 부종은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으며, 심부전, 신장 질환, 간 질환, 염증 등이 대표적인 원인이다. 또한, 간질액 내의 특정 성분의 농도 변화는 다양한 질병의 지표로 활용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