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29,488건

회고

회고 (回顧, retrospection)는 과거의 일이나 사건, 경험 등을 되돌아보며 생각하는 행위를 말한다. 단순히 과거를 기억하는 것을 넘어, 그 사건의 의미와 영향, 자신의 행동과 그 결과를 분석하고 평가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회고는 개인적인 성장, 팀의 협업 개선, 조직의 성과 향상 등 다양한 목적을 위해 활용될 수 있다.

개념 및 특징

회고는 과거를 통해 현재와 미래를 개선하고자 하는 적극적인 행위이다. 다음은 회고의 주요 특징이다.

  • 성찰적 사고: 과거의 경험을 비판적으로 분석하고 평가하여 교훈을 얻는다.
  • 학습 지향: 과거의 성공과 실패로부터 배우고, 미래의 행동에 반영한다.
  • 개선 중심: 문제점을 파악하고 해결책을 모색하여 지속적인 발전을 추구한다.
  • 공유 및 협력: 개인의 경험을 공유하고 집단 지성을 활용하여 더 나은 결과를 도출한다.

활용 분야

회고는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다.

  • 개인: 개인적인 목표 달성, 자기 계발, 감정 관리 등에 활용된다. 일기 쓰기, 명상, 자기 성찰 등이 회고의 한 형태이다.
  • 팀: 프로젝트 종료 후, 스프린트 종료 후, 정기적인 팀 회의 등에서 팀의 협업 방식 개선, 문제 해결, 성과 향상 등을 위해 활용된다.
  • 조직: 조직 문화 개선, 전략 수립, 의사 결정 과정 개선 등에 활용된다. 전사적인 회고를 통해 조직 전체의 학습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 소프트웨어 개발: 애자일 방법론에서 스프린트 회고는 필수적인 요소이다. 개발 과정에서 발생한 문제점을 파악하고 개선 방안을 도출하여 다음 스프린트에 반영한다.

회고 방법

다양한 회고 방법론이 존재하며, 상황과 목적에 따라 적절한 방법을 선택하여 활용할 수 있다. 흔히 사용되는 방법으로는 다음이 있다.

  • 스타피시 (Starfish): 좋았던 점(Star), 아쉬웠던 점(Stop), 개선할 점(Start), 계속할 점(Keep), 새롭게 시도할 점(Fish)을 중심으로 회고한다.
  • KPT (Keep, Problem, Try): 유지할 점(Keep), 문제점(Problem), 시도할 점(Try)을 중심으로 회고한다.
  • 4L (Liked, Learned, Lacked, Longed for): 좋았던 점(Liked), 배운 점(Learned), 부족했던 점(Lacked), 바라는 점(Longed for)을 중심으로 회고한다.

주의 사항

회고는 건설적인 비판과 개선을 목표로 해야 하며, 개인적인 비난이나 감정적인 반응을 피해야 한다. 또한, 회고 결과는 반드시 실행으로 이어져야 하며, 그렇지 않으면 의미가 퇴색될 수 있다.

참고 문헌

  • 애자일 회고 (Esther Derby, Diana Larsen)
  • Agile Retrospectives: Making Good Teams Great (Esther Derby, Diana Larsen)

관련 항목

  • 자기 성찰
  • 피드백
  • 애자일 방법론
  • 스프린트 회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