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수
정의: 호수는 움푹 들어간 지형에 물이 고여서 생긴, 상대적으로 넓고 깊은 내륙의 물덩이를 말한다. 강이나 바다와 직접 연결되어 있지 않으며, 지하수, 강수, 빙하 등의 수원에 의존한다. 크기는 작은 웅덩이부터 거대한 대호까지 다양하다.
형성 과정: 호수의 형성 과정은 다양하다. 주요 형성 과정은 다음과 같다.
- 빙하 작용: 빙하의 침식과 퇴적 작용으로 형성된 빙하호는 흔한 호수 유형이다. 빙하가 지표면을 깎아내면서 형성된 U자곡이나 빙하가 녹으면서 남긴 빙퇴석에 물이 고여 호수가 된다.
- 화산 활동: 화산 분화구나 용암이 굳으면서 생긴 지형에 물이 고여 화산호가 형성된다. 칼데라호는 대표적인 화산호의 예시이다.
- 지반 침하: 지각 변동이나 지하 암석의 용해로 지반이 침하하면서 형성된 함몰호는 지형적인 특징을 보인다.
- 강의 곡류: 강의 흐름이 변화하면서 곡류가 잘려나가 고립된 호수인 옥호가 형성된다.
- 사구나 모래톱에 의한 폐색: 강의 하류부에서 사구나 모래톱이 강을 막아 형성된 배후호는 특징적인 형태를 지닌다.
- 인공적인 형성: 댐 건설이나 채석장에 물이 고이면서 인공호가 만들어진다.
특징: 호수는 크기, 깊이, 수질, 생태계 등 다양한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이는 형성 과정과 주변 환경에 따라 달라진다. 수온의 변화, 수심에 따른 빛 투과량의 차이 등은 호수 내 생태계에 영향을 미친다. 호수의 수질은 주변 토지 이용, 오염 물질 유입 등에 따라 변화하며, 이는 수생 생물의 생존에 직접적인 영향을 준다.
종류: 호수는 형성 과정이나 특징에 따라 빙하호, 화산호, 함몰호, 석호, 옥호 등 다양한 유형으로 분류된다.
생태계: 호수는 다양한 생물 종의 서식지이며, 특유의 먹이 사슬과 생태계를 이룬다. 수생 식물, 어류, 조류, 파충류, 양서류 등 다양한 생물들이 호수 생태계를 구성한다.
경제적 중요성: 호수는 식수 공급, 농업용수, 수력 발전, 어업, 관광 등 다양한 경제적 가치를 지닌다. 그러나 수질 오염이나 생태계 파괴 등의 문제는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