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탄바이러스
한탄바이러스는 사람에게 신증후군출혈열(HFRS)을 일으키는 한타바이러스의 일종이다. 1976년 대한민국의 이호왕 박사가 한국전쟁 당시 미군 야전병원 근처를 흐르던 한탄강 주변에 서식하는 등줄쥐의 폐에서 처음 분리 및 확인하여 명명되었다.
특징
한탄바이러스는 주로 설치류, 특히 등줄쥐를 숙주로 하여 전파된다. 감염된 설치류의 소변, 대변, 침 등에 바이러스가 존재하며, 사람이 이러한 배설물이 건조되어 에어로졸 형태로 공기 중에 떠다니는 것을 흡입하거나, 오염된 표면과 직접 접촉할 때 감염될 수 있다. 사람 간 직접 전파는 발생하지 않는다.
질병
한탄바이러스 감염은 신증후군출혈열을 유발한다. 신증후군출혈열은 발열, 출혈, 신부전 등을 특징으로 하는 급성 열성 질환이다. 잠복기는 일반적으로 2~3주이며, 발열기, 저혈압기, 핍뇨기, 이뇨기, 회복기의 5단계를 거친다. 심한 경우 사망에 이를 수 있으나, 조기에 적절한 치료를 받으면 생존율을 높일 수 있다.
예방
한탄바이러스 감염 예방을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조치가 권장된다.
- 설치류와의 접촉을 피한다.
- 야외 활동 시 긴 소매 옷과 긴 바지를 착용하고, 풀밭에 앉거나 눕는 것을 피한다.
- 설치류의 배설물을 청소할 때는 마스크와 장갑을 착용하고, 소독제로 소독한다.
- 들쥐가 서식하는 환경에서의 작업 시에는 예방접종을 고려한다.
- 집 주변 환경을 청결하게 유지하고, 쥐가 서식할 수 있는 환경을 제거한다.
참고 문헌
- 질병관리청 감염병포털: 신증후군출혈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