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21,740건

한식

한식은 한국 고유의 음식 및 식문화를 총칭하는 말이다. 오랜 역사와 자연환경, 사회적 배경 속에서 형성되어 온 한국인의 생활양식이 담겨 있으며, 쌀을 주식으로 하고 다양한 채소, 육류, 해산물을 활용한 반찬과 국, 찌개 등을 곁들여 먹는 것이 특징이다.

특징

  • 균형 잡힌 영양: 밥을 주식으로 하고 다양한 채소와 단백질원을 섭취하여 균형 잡힌 영양을 제공한다. 특히 발효 과정을 거친 김치, 된장, 간장 등의 섭취는 장 건강에 도움을 줄 수 있다.
  • 다양한 조리법: 굽기, 끓이기, 볶기, 찌기, 데치기, 무치기, 절이기 등 다양한 조리법을 사용하여 음식의 풍미를 더한다.
  • 계절별 식재료: 제철 식재료를 활용하여 음식의 맛과 영양을 극대화한다. 봄에는 나물, 여름에는 삼계탕, 가을에는 버섯, 겨울에는 김장 등 계절에 따라 즐겨 먹는 음식이 다르다.
  • 발효 음식: 김치, 된장, 고추장, 간장 등 발효 과정을 거친 음식이 많으며, 이는 음식의 저장성을 높이고 독특한 풍미를 더해준다.
  • 음양오행 사상: 음식의 색깔, 맛, 재료 등을 통해 음양오행의 조화를 추구한다.

대표적인 음식

  • 밥 (쌀밥, 잡곡밥 등): 한국인의 주식
  • 국과 찌개: 된장찌개, 김치찌개, 순두부찌개, 미역국 등
  • 김치: 배추김치, 깍두기, 총각김치 등
  • 반찬: 나물, 볶음, 조림, 구이 등
  • 고기 요리: 불고기, 갈비, 삼겹살 등
  • 면 요리: 비빔국수, 잔치국수, 칼국수 등
  • 떡: 송편, 인절미, 떡볶이 등
  • 전: 김치전, 파전, 해물파전 등
  • 기타: 비빔밥, 쌈밥, 죽 등

한식의 세계화

최근 건강하고 맛있는 음식으로 인식되면서 한식의 세계화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김치, 불고기, 비빔밥 등은 세계적으로 인기를 얻고 있으며, 다양한 한식 레스토랑이 해외에서 운영되고 있다.

참고 문헌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