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56,667건

한국의 해안 지형

한국의 해안 지형은 복잡한 지질 구조, 기후, 해수면 변동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형성되었으며, 동해안, 서해안, 남해안 각각 독특한 특징을 보인다. 전체적으로 리아스식 해안과 퇴적 해안이 발달해 있으며, 조수간만의 차, 파랑, 연안류 등의 작용으로 다양한 해안 지형 경관을 나타낸다.

동해안: 융기성 해안으로, 해안선이 비교적 단조롭고 수심이 깊다. 파식대와 해안단구가 발달하여 과거 해수면 변동의 흔적을 보여준다. 사빈과 석호가 형성되어 있으며, 해안 침식 작용이 활발하다. 대표적인 지형으로는 영랑호, 경포호 등의 석호와 추암해변의 촛대바위 등이 있다.

서해안: 침강성 해안으로, 리아스식 해안이 발달하여 해안선이 매우 복잡하고 섬이 많다. 조수간만의 차가 크고 갯벌이 넓게 펼쳐져 있다. 조류의 영향으로 사퇴와 사주가 발달하기도 한다. 강화도 갯벌, 태안반도 등이 대표적인 서해안 지형이다.

남해안: 침강성 해안으로, 리아스식 해안이 발달하였으며, 다도해가 형성되어 섬이 많다. 서해안과 마찬가지로 조수간만의 차가 크지만, 서해안보다 갯벌의 규모는 작다. 따뜻한 해류의 영향으로 다양한 해양 생물이 서식한다. 한려해상국립공원 일대가 대표적인 남해안 지형이다.

주요 해안 지형 요소:

  • 파식대: 파도의 침식 작용으로 형성된 평탄한 지형.
  • 해안단구: 과거 해수면 높이 변화를 보여주는 계단 모양의 지형.
  • 사빈: 파랑의 작용으로 모래가 퇴적되어 형성된 해변.
  • 석호: 해안에 모래나 자갈이 퇴적되어 바다와 분리된 호수.
  • 리아스식 해안: 산맥이 바다에 잠겨 복잡한 해안선을 이루는 지형.
  • 갯벌: 조수간만의 차로 인해 드러나는 넓은 진흙 지역.
  • 사퇴: 조류에 의해 운반된 모래가 쌓여 형성된 지형.
  • 사주: 해안과 섬 사이, 또는 육지 사이에 모래가 쌓여 형성된 둑 모양의 지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