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드디스크
하드 디스크 (Hard Disk Drive, HDD)는 컴퓨터의 데이터를 영구적으로 저장하는 비휘발성 기억 장치이다. 플래터라는 자기 기록 매체에 자기적인 방식으로 데이터를 기록하고 읽어낸다. 1956년 IBM에서 처음 개발되었으며, 이후 지속적인 기술 발전을 통해 저장 용량은 크게 증가하고 크기는 작아졌다.
하드 디스크는 컴퓨터의 운영 체제, 응용 프로그램, 문서, 사진, 영상 등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 사용된다. 컴퓨터의 전원이 꺼져도 데이터가 유지되므로 장기적인 데이터 보관에 적합하다.
작동 원리
하드 디스크는 다음과 같은 주요 구성 요소로 이루어져 있다.
- 플래터 (Platter): 데이터를 기록하는 원판으로, 자기성 물질로 코팅되어 있다. 여러 장의 플래터가 겹쳐서 사용되기도 한다.
- 헤드 (Head): 플래터 표면의 자기장을 감지하여 데이터를 읽고, 자기장을 변화시켜 데이터를 기록한다. 플래터의 양면에 각각 헤드가 위치한다.
- 액추에이터 암 (Actuator Arm): 헤드를 플래터의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 스핀들 모터 (Spindle Motor): 플래터를 고속으로 회전시킨다. 플래터의 회전 속도는 하드 디스크의 성능에 영향을 미친다.
- 제어 회로 (Control Circuit): 하드 디스크의 작동을 제어하고, 컴퓨터와의 데이터 통신을 담당한다.
데이터를 기록할 때, 액추에이터 암이 헤드를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키고, 헤드가 플래터 표면에 자기장을 가하여 데이터를 기록한다. 데이터를 읽을 때는 헤드가 플래터 표면의 자기장을 감지하여 데이터를 읽어낸다.
종류
하드 디스크는 연결 방식, 크기, 용량, 회전 속도 등에 따라 다양한 종류가 있다.
- 연결 방식: IDE, SATA, SAS 등이 있다. 현재는 SATA 방식이 가장 널리 사용된다.
- 크기: 데스크톱 컴퓨터용으로는 3.5인치, 노트북 컴퓨터용으로는 2.5인치 하드 디스크가 주로 사용된다.
- 회전 속도: 5400 RPM, 7200 RPM, 10000 RPM, 15000 RPM 등이 있다. 회전 속도가 빠를수록 데이터 접근 속도가 빨라진다.
SSD와의 비교
최근에는 하드 디스크 대신 SSD (Solid State Drive)를 사용하는 경우가 늘고 있다. SSD는 반도체 메모리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저장하므로, 하드 디스크보다 데이터 접근 속도가 빠르고, 소음이 적고, 전력 소비가 적고, 내구성이 높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SSD는 하드 디스크에 비해 가격이 비싸고, 저장 용량이 제한적이라는 단점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