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52,952건

표면처리기능장

표면처리기능장은 산업 현장에서 금속 및 비금속 재료의 표면을 처리하는 작업에 대한 최상위 숙련 기술을 갖춘 기술자를 의미한다. 기능장은 산업 현장의 요구에 맞춰 표면 처리 기술을 개선하고, 새로운 기술을 개발하며, 작업 공정을 관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작업자들을 지도하고 교육하며, 안전 관리를 책임지는 등 폭넓은 직무를 수행한다.

개요

표면처리기능장은 산업통상자원부에서 주관하고 한국산업인력공단에서 시행하는 기능장 자격 시험에 합격해야 취득할 수 있다. 기능장 자격은 해당 분야에서 7년 이상의 실무 경력을 요구하며, 고도의 전문 지식과 실무 능력을 평가한다. 표면처리기능장은 도금, 도장, 금속 침투, 화성 처리 등 다양한 표면 처리 기술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와 능력을 갖추어야 한다.

주요 업무

  • 표면 처리 기술 개발 및 개선: 기존 표면 처리 기술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개선하거나, 새로운 표면 처리 기술을 개발한다.
  • 작업 공정 관리: 표면 처리 작업의 전반적인 공정을 계획, 지휘, 감독하며 효율적인 작업 환경을 조성한다.
  • 품질 관리: 표면 처리된 제품의 품질을 검사하고 관리하여 고객의 요구 사항을 충족시킨다.
  • 안전 관리: 작업 현장의 안전 규정을 준수하고 작업자들의 안전을 확보한다.
  • 작업자 지도 및 교육: 표면 처리 작업자들을 교육하고 지도하여 기술 수준을 향상시킨다.
  • 장비 관리: 표면 처리 장비를 유지 보수하고 관리하여 최적의 성능을 유지한다.

취득 방법

표면처리기능장 자격은 필기 시험과 실기 시험을 통해 취득할 수 있다. 필기 시험은 객관식으로 출제되며, 표면 처리 이론, 공정 관리, 품질 관리, 안전 관리 등에 대한 지식을 평가한다. 실기 시험은 작업형으로 진행되며, 실제 표면 처리 작업을 수행하는 능력을 평가한다.

활용 분야

표면처리기능장 자격 취득자는 금속 제품 제조업, 자동차 산업, 전자 제품 산업, 건설 산업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할 수 있다. 또한, 표면 처리 관련 연구소, 기술 개발 부서, 품질 관리 부서 등에서 전문 기술 인력으로 활동할 수도 있다. 자격 취득 후에는 기술 지도, 교육, 컨설팅 등의 분야에서 독립적으로 활동할 수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