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47,935건

카르스트 지형

카르스트 지형은 석회암, 백운석, 또는 석고와 같이 물에 잘 용해되는 암석으로 구성된 지반이 빗물이나 지하수에 의해 용해되어 형성된 독특한 지형이다. 이러한 용해 과정은 암석 내의 균열을 따라 진행되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균열은 확대되어 다양한 지형적 특징을 만들어낸다.

주요 특징:

  • 돌리네 (Doline): 깔때기 모양의 웅덩이로, 지표수가 지하로 스며들면서 형성된다. 돌리네는 크기가 다양하며, 여러 개가 합쳐져 복합 돌리네를 형성하기도 한다.

  • 우발라 (Uvala): 여러 개의 돌리네가 합쳐져 형성된 넓고 복잡한 형태의 웅덩이이다.

  • 종유석 (Stalactite)과 석순 (Stalagmite): 석회동굴 천장에서 물방울이 떨어지면서 탄산칼슘이 침전되어 형성되는 고드름 모양의 지형이 종유석이며, 바닥에서 위로 솟아오르는 지형이 석순이다. 종유석과 석순이 만나 기둥 모양의 석주 (Column)를 형성하기도 한다.

  • 석회동굴 (Limestone cave): 지하수가 석회암을 용해시켜 형성된 동굴이다. 석회동굴 내부에는 다양한 형태의 종유석, 석순, 석주 등이 존재하며, 지하수가 흐르는 통로 역할을 한다.

  • 카렌 (Karren): 석회암 표면이 빗물에 의해 용해되어 형성된 날카로운 홈 또는 틈이다.

  • 맹곡 (Blind valley): 하천이 흐르다가 갑자기 지하로 사라지는 계곡이다. 지하로 스며든 물은 다시 용천 (Spring) 형태로 지표로 솟아오른다.

형성 과정:

카르스트 지형은 빗물이나 지하수에 녹아 있는 이산화탄소가 석회암의 주성분인 탄산칼슘과 반응하여 탄산수소칼슘으로 용해되면서 형성된다. 이 과정은 화학적 풍화 작용의 일종이며, 기온이 높고 강수량이 많은 지역에서 활발하게 일어난다.

분포 지역:

카르스트 지형은 전 세계적으로 분포하며, 특히 석회암 지대가 넓게 분포하는 지역에서 흔히 나타난다. 대표적인 카르스트 지형 지역으로는 중국의 구이린, 베트남의 하롱베이, 슬로베니아의 카르스트 고원, 미국의 맘모스 동굴 국립공원 등이 있다. 대한민국에서는 강원도 영월, 삼척, 평창 지역과 충청북도 단양 지역에서 카르스트 지형을 찾아볼 수 있다.

중요성:

카르스트 지형은 독특한 경관을 제공하며, 다양한 생물들의 서식처 역할을 한다. 또한, 카르스트 지형은 지하수 자원의 중요한 공급원이 되기도 한다. 하지만, 카르스트 지형은 지하수 오염에 취약하며, 지반 침하의 위험도 존재하므로, 지속적인 관리와 보존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