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21,581건

전철역

전철역 (電鐵驛, electric railway station)은 전철이 정차하여 승객을 승하차시키고, 열차를 운행하기 위한 각종 설비가 갖추어진 장소이다. 일반적으로 도시 철도, 광역 철도, 일부 간선 철도 노선에서 찾아볼 수 있으며, 대중교통 체계의 중요한 부분을 담당한다.

역의 구성

전철역은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

  • 승강장 (Platform): 승객이 열차를 기다리고 승하차하는 공간이다. 선로 옆에 위치하며, 안전을 위해 스크린도어 또는 안전 난간이 설치되기도 한다.
  • 대합실 (Concourse): 개찰구 안쪽 또는 바깥쪽에 위치하며, 승객이 표를 구매하거나 교통카드를 충전하고, 휴식을 취할 수 있는 공간이다.
  • 개찰구 (Ticket Barrier): 승차권을 확인하거나 교통카드를 인식하여 승객의 통행을 관리하는 장치이다.
  • 역무실 (Station Office): 역무원이 근무하며, 열차 운행 및 역 관리에 필요한 업무를 수행하는 공간이다.
  • 출입구 (Entrance/Exit): 외부와 연결되는 통로로, 계단, 에스컬레이터, 엘리베이터 등을 통해 접근할 수 있다.
  • 안내 시설: 역 위치, 노선도, 운행 시간표, 비상 연락망 등을 안내하는 표지판 및 정보 디스플레이 장치이다.

역의 종류

전철역은 선로의 수, 승강장의 형태, 운영 주체 등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될 수 있다.

  • 섬식 승강장 (Island Platform): 하나의 승강장 양쪽에 선로가 있는 형태. 승객은 한 개의 승강장에서 양 방향의 열차를 모두 이용할 수 있다.
  • 상대식 승강장 (Side Platform): 두 개의 승강장이 각각 선로의 양쪽에 있는 형태. 승객은 각 승강장에서 한 방향의 열차만 이용할 수 있다.
  • 고가역 (Elevated Station): 선로가 지면보다 높은 곳에 위치한 역. 도시의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 지하역 (Underground Station): 선로가 지하에 위치한 역. 도시의 소음 및 환경 문제를 줄일 수 있다.
  • 환승역 (Transfer Station): 두 개 이상의 노선이 교차하는 역. 승객은 환승 통로를 이용하여 다른 노선으로 갈아탈 수 있다.

역의 역할

전철역은 단순히 열차가 정차하는 장소를 넘어, 지역 주민의 이동 편의를 제공하고, 상업 및 문화 활동을 지원하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역 주변은 상권이 발달하고, 다양한 편의시설이 들어서며, 지역의 중심지로 기능하는 경우가 많다. 또한, 전철역은 재난 발생 시 피난 장소로 활용될 수 있도록 설계되기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