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항군
저항군은 일반적으로 기존 권력이나 점령군, 독재 정권 등에 대항하여 무력 또는 비폭력적인 방법으로 저항하는 집단을 의미한다. 저항군은 다양한 동기와 목표를 가질 수 있으며, 민족 해방, 정치적 자유, 사회 정의, 종교적 신념 등을 옹호하는 경우가 많다.
특징
- 비정규성: 저항군은 대개 정규군에 비해 조직, 훈련, 무장 수준이 열악하며, 게릴라전, 사보타주, 선전전 등의 비정규적인 전술을 주로 사용한다.
- 다양한 구성원: 다양한 계층, 직업, 이념을 가진 사람들이 참여할 수 있으며, 민간인의 지원과 협력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
- 정당성 논란: 저항군의 활동은 때로는 테러 행위로 간주되기도 하며, 그 정당성에 대한 논란이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억압적인 권력에 대한 저항이라는 명분으로 인해 옹호받기도 한다.
- 역사적 중요성: 역사를 통틀어 많은 저항군들이 민족 독립, 민주주의 발전, 인권 신장에 기여했으며, 때로는 국가의 기틀을 다지는 역할을 수행하기도 했다.
유형
- 민족 해방 저항군: 외세의 침략이나 식민 지배에 맞서 민족의 독립을 추구하는 집단.
- 정치적 저항군: 독재 정권이나 권위주의 체제에 맞서 민주주의와 자유를 쟁취하려는 집단.
- 사회적 저항군: 사회 불평등, 빈곤, 차별 등에 맞서 사회 정의를 실현하려는 집단.
- 종교적 저항군: 종교적 박해에 맞서 신앙의 자유를 지키려는 집단.
관련 개념
- 게릴라: 저항군이 주로 사용하는 전술의 한 형태.
- 혁명: 기존의 정치 체제를 근본적으로 변화시키려는 시도.
- 내전: 한 국가 내에서 정부군과 저항군 사이에 벌어지는 전쟁.
- 시민 불복종: 비폭력적인 방법으로 정부의 정책이나 법률에 저항하는 행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