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31,190건

자신지책

자신지책(自新之策)은 스스로 새롭게 거듭나기 위한 방책을 의미하는 고사성어이다. 자신의 잘못을 뉘우치고 과오를 바로잡아 이전과는 다른 사람이 되기 위한 계획이나 방법을 가리킨다.

어원 및 유래

자신지책은 한자어 그대로 풀이하면 '스스로 새로워지는 방책'이라는 뜻이다. 구체적인 유래를 특정하기는 어려우나, 고전 문헌에서 널리 사용되었으며 특히 유교 경전에서 강조하는 수양론과 관련이 깊다. 유교에서는 끊임없는 자기 성찰과 개선을 통해 도덕적인 인간으로 나아가는 것을 중요하게 여겼으며, 자신지책은 이러한 맥락에서 개인의 발전과 성장을 위한 방법론으로 제시되었다.

의미 및 용례

자신지책은 단순히 과거의 잘못을 후회하는 것을 넘어, 구체적인 계획과 실천을 통해 변화를 추구하는 적극적인 자세를 강조한다. 개인의 수양뿐만 아니라, 조직이나 사회 전체의 혁신을 위한 방안을 제시할 때에도 사용될 수 있다.

  • 개인의 수양: 잘못된 습관을 고치거나 부족한 점을 개선하기 위한 계획을 세우고 실천하는 것.
  • 조직의 혁신: 조직 문화나 시스템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개선하여 효율성을 높이고 경쟁력을 강화하는 것.
  • 국가의 개혁: 사회 문제 해결과 국가 발전을 위해 새로운 정책을 수립하고 시행하는 것.

예시:

  • "그는 과거의 실패를 거울삼아 자신지책을 세우고 사업에 재도전했다."
  • "기업은 시대 변화에 발맞춰 자신지책을 마련하고 새로운 성장 동력을 확보해야 한다."
  • "정부는 사회적 불평등 해소를 위한 자신지책을 마련하고 적극적으로 추진해야 한다."

유사어

  • 개과천선(改過遷善): 잘못을 고쳐 착하게 됨.
  • 환골탈태(換骨奪胎): 뼈를 바꾸고 태를 빼낸다는 뜻으로, 완전히 새롭게 변화하거나 거듭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혁고정신(革故鼎新): 묵은 것을 버리고 새 것을 취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