잎벌레
잎벌레는 딱정벌레목 잎벌레과의 곤충을 통칭하는 말이다. 전 세계적으로 약 35,000종 이상이 알려져 있으며, 다양한 식물을 먹이로 삼는 초식성 곤충이다. 대부분의 종이 식물의 잎을 갉아먹어 농작물과 임산물에 큰 피해를 주는 해충으로 분류되지만, 일부 종은 특정 식물만 섭취하여 생물학적 방제에 활용되기도 한다.
특징
- 형태: 몸길이는 종에 따라 다양하지만, 일반적으로 1~20mm 정도이다. 몸 색깔은 녹색, 갈색, 검은색, 금속 광택 등 매우 다양하며, 화려한 무늬를 가진 종도 많다. 딱지날개는 단단하며, 배를 덮고 있다. 머리는 작고, 더듬이는 비교적 길다. 다리는 비교적 짧고, 발목마디는 4개이다.
- 생태: 잎벌레는 대부분 식물의 잎을 먹지만, 꽃, 줄기, 뿌리, 과실 등을 먹는 종도 있다. 알, 유충, 번데기, 성충의 단계를 거치는 완전변태를 한다. 암컷은 보통 식물의 잎이나 줄기 등에 알을 낳는다. 유충은 잎을 갉아먹으며 성장하며, 번데기 시기를 거쳐 성충이 된다.
- 분포: 잎벌레는 전 세계적으로 분포하며, 특히 열대 지역에서 다양하게 발견된다.
- 식성: 대부분의 잎벌레는 특정 식물만을 섭취하는 단식성 또는 몇몇 종류의 식물을 섭취하는 과식성이다. 이러한 식성은 잎벌레의 분류에 중요한 기준이 된다.
인간과의 관계
- 해충: 많은 잎벌레 종이 농작물과 임산물에 큰 피해를 주는 해충으로 간주된다. 잎을 갉아먹어 식물의 광합성을 저해하고, 수확량을 감소시킨다. 특히 배추흰나비애벌레, 멸강나방 등이 대표적인 해충이다.
- 생물학적 방제: 일부 잎벌레 종은 특정 식물만을 섭취하는 특성을 이용하여 생물학적 방제에 활용되기도 한다. 예를 들어, 서양등골나물을 갉아먹는 잎벌레를 이용하여 서양등골나물의 확산을 억제하는 방법이 연구되고 있다.
하위 분류
잎벌레과는 다양한 아과로 나뉜다. 대표적인 아과로는 다음과 같다.
- 알벌레아과 (Alticinae)
- 잎벌레아과 (Chrysomelinae)
- 방패벌레아과 (Cassidinae)
- 가시잎벌레아과 (Hispinae)
- 긴더듬이잎벌레아과 (Criocerinae)
각 아과에 속하는 종들은 형태, 생태, 식성 등에서 차이를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