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원
입원은 질병이나 부상으로 인해 의료기관(주로 병원)에 입실하여 치료를 받는 행위를 말한다. 외래 진료만으로는 충분한 치료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거나, 지속적인 관찰 및 간호가 필요한 경우, 또는 수술이나 특수 검사를 위해 이루어진다.
목적
입원의 주요 목적은 다음과 같다.
- 집중 치료: 급성 질환이나 중증 질환으로 인해 집중적인 치료와 관리가 필요한 경우
- 지속적인 관찰: 환자의 상태를 지속적으로 관찰하고 변화에 신속하게 대응해야 하는 경우
- 수술 및 시술: 수술이나 침습적인 시술을 전후하여 안전하게 환자를 관리해야 하는 경우
- 재활 치료: 질병이나 사고로 인해 손상된 기능을 회복하기 위한 재활 치료가 필요한 경우
- 격리: 전염성 질환의 확산을 막기 위해 환자를 격리해야 하는 경우
- 정신 질환 치료: 정신 질환으로 인해 자해 또는 타해의 위험이 있는 경우
과정
입원 절차는 병원마다 다소 차이가 있지만,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단계를 거친다.
- 진료 및 입원 결정: 의사의 진료를 통해 입원 필요성이 결정된다.
- 입원 수속: 병원 행정 부서에서 입원 관련 서류를 작성하고 입원 생활에 대한 안내를 받는다.
- 병실 배정: 환자의 상태와 병실 상황에 따라 병실이 배정된다.
- 진료 및 치료: 의사의 지시에 따라 다양한 검사와 치료가 진행된다.
- 퇴원: 의사의 판단에 따라 퇴원이 결정되며, 퇴원 후 관리 및 외래 진료에 대한 안내를 받는다.
종류
입원은 다음과 같이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 자발적 입원: 환자 본인의 의사에 따라 입원하는 경우
- 보호 입원: 환자 본인의 의사와 관계없이 가족이나 보호자의 동의하에 입원하는 경우 (정신 질환 관련)
- 응급 입원: 환자의 상태가 위급하여 즉각적인 치료가 필요한 경우
- 강제 입원: 법원의 결정에 따라 환자를 강제로 입원시키는 경우 (정신 질환 관련)
관련 법규
입원은 의료법, 정신건강증진 및 정신질환자 복지서비스 지원에 관한 법률 등 관련 법규의 적용을 받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