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계
임계(臨界, Criticality)는 어떤 물리적 계나 현상이 질적으로 변화하는 경계 또는 그 지점을 의미한다. 즉, 특정 조건의 변화에 따라 계의 상태가 급격하게 변하거나 새로운 현상이 나타나기 시작하는 결정적인 순간이나 값을 가리킨다.
물리학에서의 임계:
물리학에서 임계는 주로 상전이와 관련하여 사용된다. 예를 들어, 물의 끓는점이나 어는점은 각각 액체 상태에서 기체 상태로, 액체 상태에서 고체 상태로 상이 변하는 임계점에 해당한다. 이러한 임계점 근처에서는 물리적 성질이 특이하게 변하며, 임계 지수와 같은 개념을 통해 그 변화를 설명한다. 또한, 핵반응에서 연쇄 반응이 지속될 수 있는 최소 핵물질의 양을 임계 질량이라고 한다.
수학 및 통계학에서의 임계:
수학이나 통계학에서는 함수의 동작이나 시스템의 안정성이 변하는 특정 값을 임계값이라고 부른다. 예를 들어, 최적화 문제에서 함수의 극값을 찾는 과정에서 미분값이 0이 되는 지점을 임계점이라고 하며, 통계적 가설 검정에서는 귀무 가설을 기각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기준값을 임계값이라고 한다.
일반적인 의미에서의 임계:
일반적으로 임계는 어떤 일의 성패나 존망이 결정되는 매우 중요한 시기나 단계를 비유적으로 나타내는 데 사용되기도 한다. 예를 들어, "임계 시점을 넘었다"는 표현은 어떤 상황이 되돌릴 수 없는 지경에 이르렀음을 의미할 수 있다.
같이 보기:
- 상전이
- 임계 질량
- 임계점
- 임계값