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47,892건

원형이정

원형이정(元亨利貞)은 유교 경전인 《주역(周易)》의 괘사(卦辭)에 등장하는 용어로, 건괘(乾卦)의 괘사에 처음 등장하며, 하늘의 덕(德)을 설명하는 핵심적인 개념이다. 흔히 사덕(四德)이라고도 불린다.

원(元)은 만물의 시초이자 근원적인 힘을 의미하며, 모든 것이 시작되는 으뜸을 뜻한다. 봄에 해당하며, 씨앗이 움트는 생명력과 같다.

형(亨)은 만물이 성장하고 발전하는 과정을 의미하며, 순조롭게 뻗어나가는 형통함을 뜻한다. 여름에 해당하며, 만물이 무성하게 자라나는 것과 같다.

이(利)는 만물이 결실을 맺고 유익함을 가져다주는 과정을 의미하며, 이로움과 결실을 뜻한다. 가을에 해당하며, 곡식을 수확하는 것과 같다.

정(貞)은 만물이 그 근본으로 돌아가 다음 단계를 준비하는 과정을 의미하며, 올바름과 굳건함을 뜻한다. 겨울에 해당하며, 씨앗이 땅속에서 겨울을 나는 것과 같다.

원형이정은 단순히 계절의 순환을 넘어, 세상의 모든 변화와 순환, 그리고 도덕적 이상을 담고 있는 심오한 개념으로 해석된다. 유교에서는 원형이정을 인간의 인의예지(仁義禮智)와 연결하여, 인간이 추구해야 할 덕목으로 강조한다. 또한, 군주의 통치 이념으로도 활용되어, 백성을 널리 이롭게 하고 올바른 정치를 펼치는 것을 강조하는 데 사용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