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순
원순 (圓脣, 문화어: 둥근입술소리)은 언어학, 특히 음성학 및 음운론에서 모음을 발음할 때 입술을 둥글게 오므리는 조음 방식을 나타내는 용어이다. 이는 입술을 평평하게 펴거나 자연스러운 상태로 두는 평순(平脣)과 대비되는 개념이다.
원순 모음을 발음할 때는 입술 근육을 사용하여 입술 모양을 둥근 형태로 만든다. 입술이 튀어나오거나(돌출 원순, protruded) 단순히 둥글게 모이는(비돌출 원순, compressed) 방식에 따라 다시 나눌 수 있으나, 언어에 따라 주된 형태가 다르다. 원순성은 모음의 음가를 결정하는 중요한 조음 특징 중 하나이다.
한국어의 모음 중 원순 모음에는 단모음 'ㅗ(/o/)'와 'ㅜ(/u/)', 그리고 이중 모음 'ㅛ(/yo/)'와 'ㅠ(/yu/)' 등이 대표적이다. 또한 'ㅚ(/we/)'와 'ㅟ(/wi/)'도 표준 발음에서는 단모음으로 분류되며 원순성을 가진다. 이 외에도 'ㅘ(/wa/)', 'ㅙ(/wɛ/)', 'ㅝ(/wʌ/)', 'ㅞ(/we/)'와 같은 이중 모음 역시 원순성을 포함한다. 이들은 입술을 둥글게 오므려 발음하는 특징을 가진다. 반면 'ㅏ, ㅓ, ㅡ, ㅣ, ㅐ, ㅔ' 등은 평순 모음으로 분류된다.
원순성은 모음을 분류하는 기준(높이, 혀의 앞뒤 위치와 함께)이 되며, 음성학적으로는 특정 음향 특성(예: 포먼트 주파수 변화)과 관련이 있다. 많은 언어에서 원순 모음과 비원순(평순) 모음이 대립하여 의미를 구분하는 데 사용된다.
관련 항목
- 평순
- 모음
- 음성학
- 음운론
- 조음